2900선도 불안한데…개미는 ‘6만전자’를 더 담았다
by김윤지 기자
2021.10.12 17:38:54
인플레 압력·금리 상승 압박…취약한 투심
10개월만에 7만원 깨진 삼전, 개미 8430억 담아
외국인 순매수 배터리株·실적 LG전자 '강세'
“이익 등 고려시 하단 근접, 분할 저가 매수”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12일 코스피 지수가 1% 넘게 하락하면서 사흘 만에 다시 2900선으로 밀려났다. 성장 둔화 부담에 배럴당 80달러를 상회하는 국제유가(WTI) 급등과 공급망 병목 현상 장기화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장중 1200원을 돌파한 원·달러 환율 등 불안한 매크로 환경에 투자 심리가 얼어붙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에도 금리 인상을 주장한 2명의 소수의견에 더해 이주열 총재가 적극적인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증시에 악재로 작용했다. 개인 투자자가 올해 34조원 넘게 사들인 삼성전자(005930)는 ‘6만 전자’로 밀려났다. 하지만 개인은 이날 삼성전자를 8400억원어치 사들이면서 순매수 1위 종목에 올려놨다.
이날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39.92포인트(-1.35%) 하락한 2916.38포인트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2950선에서 출발한 지수는 서서히 낙폭을 확대해 한때 2901선까지 내려갔지만 2916선에서 마무리됐다.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8000억원 넘게 내다 팔았다. 연기금 등이 500억원을 가까이 순매수했지만 금융투자가 적극 순매도하면서 기관 또한 약 2000억원 내다팔았다. 개인이 1조원 가까이 순매수에 나서면서 하방을 지지했다.
시가총액 비중 20%에 달하는 삼성전자의 급락도 지수를 끌어내렸다. 과도한 하락으로 인한 저점 매수 기회라 판단한 개인 투자자들은 이날 하루 삼성전자를 8430억원치 순매수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3.50% 하락하면서 6만9000원으로 마감했다. 종가 기준 지난해 12월 3일 6만9700원 이후 약 10개월 만에 ‘6만 전자’로 내려앉았다. 올해 3분기 매출액 70조원을 처음으로 돌파하며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지만, 증권가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과 디스플레이 비용 증가, 중국 전력난 등 불확실한 영업환경 영향으로 4분기 이후 실적 둔화를 우려해 연이어 목표가를 하향하는 추세다.
삼성전자를 포함해 시가총액 상위주는 대부분 하락세를 보였다. 외국인 투자자 자금이 집중된 LG화학(051910)(4.19%)과 SK이노베이션(096770)(3.43%) 등 배터리주와 이날 실적을 발표한 LG전자(066570)(3.33%)는 상승세를 보였다. LG전자는 시장 추정치를 한참 밑도는 실적을 발표했지만, 시장은 제너럴모터스(GM)의 쉐보레 볼트 전기차(EV) 리콜 충당금 반영을 악재 해소로 해석한 것으로 풀이된다.
증권가는 증시 조정이 합리적인 움직임에 가깝다면서 단기 변동성은 이어질 수 있으나 과도한 측면도 있다고 지적했다. 종목 변동성 확대에 따른 신용잔고 출회 부담으로 개인 순매수가 약화됐다는 진단이다. 이날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주식시장 미수금 대비 반대매매 비율은 7일 현재 9.5%로 지난 6일에는 11.3%까지 상승했다. 실제 반대매매까지 가지 않고 미리 주식을 매도하는 경우가 더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개별종목 변동성 확대에 따른 신용융자 잔고 출회 압력은 더 컸을 가능성이 높다.
노동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통상 신용잔고 출회 대상은 고점 대비 30% 이상 하락 종목군으로, 국내 주식시장 신용융자 잔고는 25조원을 초과하며 역대 최대 규모였던 만큼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했던 상황”이라면서 “2020년 들어 코스피 대비 하락률과 신용융자 고점대비 감소율은 비슷한 궤적과 폭을 보였는데, 지수 조정으로 괴리는 상당 부분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코스피 밸류에이션은 이익과 유동성 고려시 하단에 근접했다는 분석이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지수 하단으로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 10배인 2900포인트를 제시했다. 당분간 시장은 매크로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겠으나 밸류에이션 수치상 단계별로 저가 분할 매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업종에선 금리 상승 수혜를 누릴 수 있는 금융주와 공급 부족과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에너지주를 꼽았다.
김 연구원은 “작년 보다 이익 레벨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추세적인 급락이 이어질 가능성이 낮고, 내달부터 리오프닝과 추가 정책 모멘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추가 하락시 지금 보다 강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될 수 있디”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