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전동화 맞춤형 R&D·IP 인력 적극 재배치..유연한 조직 만든다”
by이다원 기자
2023.11.02 18:28:37
KAMA·특허청 ‘2023 자동차모빌리티 기술특허포럼’
빨라진 기술 변화…신속 대응한 현대차, 글로벌 3위로
기존 고급인력 유실 없게…선행기술 관련 조직 재배치
전동화 관련 철저한 재교육·연계성 고려해 기술 선도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현대차가 차량 전동화 시대를 맞아 연구개발(R&D)과 기술특허 등 지적재산권(IP) 관련 인력을 적극 재배치하고 있다. 전기차, 소프트웨어기반차량(SDV) 등 미래 모빌리티 시대가 도래하면서 차량 관련 기술의 변화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기존 완성차 인력의 노하우에 첨단 전동화 지식을 더해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 향하겠다는 전략이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와 특허청 자동차연구회가 2일 서울 서초구 KAMA에서 개최한 ‘2023년 자동차모빌리티 기술 특허포럼’에 참석한 윤승현 현대차 지적재산실 책임연구원 실장은 “지난 100년간 내연 기관으로 발전해 온 자동차 산업이 급격한 변동의 시대를 맞고 있다”며 완성차 업계의 빠른 전동화 전환 속도를 짚었다.
그의 말처럼 현대차도 미래 모빌리티 핵심 전략을 전기차와 SDV로 세웠다. 구체적으로는 2030년까지 전기차 200만대 판매·2025년까지 전 차종 SDV 전환 등이다.
| 윤승현 현대차 지적재산실 책임연구원 실장이 2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와 특허청 자동차연구회 주최로 열린 ‘2023년 자동차모빌리티 기술 특허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KAMA) |
|
윤 실장은 전동화 전환기에 진입하며 현대차 기술 역량이 크게 발전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앞서 글로벌 완성차를 따라가기만 하던 현대차는 어느새 세계 3위 기업이 됐고, 이들 기업보다 특정 전동화 분야에서는 앞서 있다”고 했다.
전동화 기술 역량의 핵심 축은 인력이다. 기술 주기가 길던 과거와 달리 변화 속도가 빨라진 지금, 현대차는 새로운 인력 구성을 고심하고 있다. 윤 실장은 “현대차는 더 이상 자동차, 기계 회사가 아니라 서비스를 포함해서 소프트웨어까지 다루는 기업으로 탈바꿈하고 있다”며 “실제로 채용 홈페이지를 보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한 70~80% 뽑고 있는 걸 알고 계실 것”이라고 말했다.
R&D와 IP 등 선행기술 관련 조직도 더욱 유연한 구성을 위해 인력을 적극적으로 재배치하고 있다. 류택상 현대차 지적재산1팀 팀장은 “기술 흐름이 빨라지면서 R&D 등 조직, 인력의 플렉시블(유연한) 구성을 고민해야 할 시기”라며 “현대차는 전동화로의 컨버전(전환)을 맞아 R&D 인력과 IP 조직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R&D 조직을 현재 전동화 설계 및 시험, 배터리 등으로 재구성했다. 엔진, 변속기 등 파워트레인으로 구분하던 기존 조직을 확 바꾼 것이다. 기술 특허를 관리하는 IP 조직 역시 변화하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 2020년만 해도 엔진·변속기 관련 특허를 250건 이상 출원해 왔지만 올해는 그 수가 25~30%가량 줄어들었다.
현대차는 유실 인력이 없도록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류 팀장은 “많은 고급 연구인력이 현대차에서 일을 하고 있고 이들의 역량이 상당하다”며 “이들을 전동화로 전환해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인 만큼 회사도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고 했다.
R&D와 IP 분야 인력의 재배치에 집중한 이유다. 현대차는 전환 과정에서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연계성에 집중한 재배치 전략을 짰다. R&D 부문에서는 기존 연구 분야와 관련성이 높은 기술 분야로 연계하는 경우가 잦다. 전동화 부품 중 기존 업무 분야와 가장 유사한 분야로 재배치하는 동시에 기존 연구도 진행하며 업무 혼란을 줄였다.
IP 역시 기존 내연기관과 전동화 분야를 동시에 수행하는 인원을 마련했다. 업무를 서서히 전환하는 ‘전동화 맞춤형’ 용인술을 쓴 셈이다. 류 팀장은 “R&D 인력처럼 IP 인력도 새롭게 배치해야 하는 상황이었지만, 권리 유지 검토 등 기존 출원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업무 수요가 있었다”며 “이를 고려해 전동화 쪽으로 계속 전환해왔고 상당한 인원이 전동화 IP 부문으로 전환됐다”고 말했다.
다만 류 팀장은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원 개인의 의견”이라며 “의견 수렴을 많이 진행해 하고자하는 분야로 재배치한 경우가 가장 많다”고 강조했다.
철저한 재교육을 통한 생산성 확보도 중시한다. 재배치 인력은 최소 2~3개월에서 길게는 1년까지 전동화 관련 온·오프라인 교육을 받는다. 사내 교육뿐만 아 외부 세미나도 적극 활용한다.
이에 대해 류 팀장은 “인력 재배치를 하면 신규 업무가 생길 수밖에 없으니 중요한 것은 이를 어떻게 준비하느냐다”며 “전동화 기술 교육을 필수로 진행해 신기술 분야에 제대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