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누리호' 민간 주도로 재편…‘뉴스페이스’ 시대 열린다
by박순엽 기자
2022.06.21 17:25:56
‘우주개발 진흥법 개정안’ 7일 국무회의 통과
계약방식 도입 등 뉴스페이스 시대 기반 마련
KAI·한화·LIG넥스원 등 발사체·위성 본격 개발
“한·미 협력 물론,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필요”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순수 우리 기술로 만든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우주비행에 성공하면서 민간 주도로 재편되는 우주 산업, 즉 ‘뉴스페이스’ 사업 육성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국내 기업의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해 우주 개발 사업 주체를 국가에서 기업으로 전환하고, 정부가 이를 지원하겠다고 나선 만큼 국내 업계의 우주 사업 참여도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7일 우주개발에 민간기업 참여를 확대하고자 마련한 ‘우주개발 진흥법 개정안’을 국무회의에서 최종 의결했다. 해당 개정안은 △우주개발 기반 시설 확충·개방 확대 △우주개발 사업에 계약방식 도입 △우주 신기술 지정·기술이전 촉진 △우주 분야 인력양성·창업 촉진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국가 우주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이윤을 올릴 수 있는 계약방식을 도입한 것이 이번 개정안의 골자다. 그동안 우주개발 사업 체계는 협약을 통한 연구개발(R&D) 참여 위주로만 이뤄져 참여 기업들의 수익성을 보장하기 어려웠지만, 이번 개정안을 통해 국가 우주개발 사업에서도 기업들이 이윤 등을 계상할 수 있는 방식을 도입한 셈이다.
|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종포 사업장에서 제작된 누리호 1단 추진제 탱크.(사진=KAI) |
|
국내 기업들은 국가 우주개발 사업을 통해 이윤을 거둘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만큼 그동안 군수·민수 사업으로 쌓아온 역량을 우주 사업에 쏟아부을 준비를 하고 있다. 21일 발사한 누리호 체계 총조립과 1단 추진체 탱크 제작 등을 맡은 한국항공우주산업(047810)(KAI)은 이를 기반으로 발사체 종합기술을 강화하는 등 우주 전문 기업으로 입지를 굳힌다는 계획이다.
KAI는 차세대 중형위성 2호기 개발 사업을 주관하는 등 위성 개발·제작 분야에서의 역량도 꾸준히 쌓고 있다. 국내 우주개발 역사에서 정부 출연 연구원이 아닌 민간기업 주관으로 실용급 위성이 개발되는 건 차세대 중형위성 2호기가 처음이다. KAI는 차세대 중형위성 3~4호기를 현재 개발 중이며, 연내 5호기 개발도 진행할 예정이다.
|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우주센터에서 시험 중인 차세대 중형 위성 2호.(사진=KAI) |
|
지난해 3월 우주 산업을 총괄하는 ‘스페이스 허브’를 출범한 한화그룹도 각 계열사를 토대로 우주 산업에 힘을 쏟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그룹 우주 산업을 총괄하며, 누리호 발사에서 발사체의 심장 격인 75톤(t) 액체엔진을 생산했다. 또 현재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500kg 규모의 소형 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는 발사체 개발에 착수한 상태다.
지난 3월 한국천문연구원·항우연이 함께 추진하는 ‘우주탐사 기준 플랫폼 시스템 설계’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한화시스템(272210)은 소행성 탐사와 달 착륙 등 국내 우주탐사 프로젝트의 기반이 될 플랫폼을 설계할 예정이다. 한화시스템은 우주인터넷용 위성 사업회사 원웹에 3억달러(3878억원)를 투자하는 등 우주 위성 사업에서도 기업 인수·투자로 발을 넓히고 있다.
최근 스페이스 허브는 100억원을 투자해 카이스트(KAIST)와 공동으로 우주연구센터를 설립, 민간 우주개발과 위성 상용화에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미국 스페이스X 등이 개발 중인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ISL’(Inter Satellite Links·위성 간 통신 기술) 개발을 첫 과제로 삼아 실질적인 상용화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 밖에 LIG넥스원(079550)은 역대 최대 규모의 우주개발 사업인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사업을 준비하면서 위성에 탑재되는 초정밀영상레이더(SAR)·적외선센서(IR) 등을 개발 중이다. 현대중공업(329180)도 발사대 지상기계설비(MGSE)·추진제공급설비(FGSE)·발사관제설비(EGSE) 등 발사 시스템 전반을 독자 설계·제작·설치한 만큼 앞으로도 관련 사업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개념도.(사진=LIG넥스원) |
|
다만, 국내 우주 산업 발전 단계는 정부 주도로 산업 기반이 조성되는 태동기를 거쳐 막 민간기업 참여가 시작되는 정착기에 들어서고 있어 먼저 기업 주도의 산업 생태계가 조성된 해외와 협력이 중요하다는 조언도 나온다. 특히, 최근 한·미 정상들이 우주 협력 전 분야 동맹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만큼 업계에선 양국의 적극적인 협력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우주탐사 공동연구와 KPS 개발 지원 등을 합의한 점은 국내 우주 산업의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우주 산업이 민간 주도로 산업이 재편된다고 해도 여전히 투자 대비 리스크가 큰 만큼 정부가 관련 R&D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정책으로 뒷받침해야만 독자적인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