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돔’과 ‘폭염’ 그리고 ‘지구온난화’의 역학관계

by김경은 기자
2021.07.27 16:35:33

최근 극한폭염 현상 원인은 ‘열돔’ 현상
북극해빙 크게 수축…제트기류 약화, 상층 고기압 정체
지구온난화가 열돔 잦은 발생 원인 증명은 아직
한반도 상층 고기압 다시 발달…8월 5일까지 폭염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2018년 역대 최고 더위 이후 3년만에 찾아온 극한 폭염의 원인으로 지목된 ‘열돔(Heat Dome)’ 현상이 앞으로 얼마나 더 자주 발생할까. 전 지구의 온도가 점점 뜨거워지고 있는 것은 맞지만, 열돔의 발생 빈도와 지구온난화의 상관관계는 증명되지 않았다. 극한 폭염이 앞으로 얼마나 더 자주 찾아올지 예측하는 것이 현재로선 어렵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지구온난화는 최근 극한 강수나 폭염 등 이상기상의 강도가 세진 것과 높은 관련을 갖고 있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 즉 폭염에 대한 대비가 임시방편적인 단기 대책에 그칠 것이 아니라, 폭염의 장기화에 따른 단계적 대비가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21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공원 도로에 아지랑이가 피어오르고 있다.
27일 이명인 울산과학기술원 폭염연구센터장은 ‘폭염 현황과 전망, 기온 예보와 관측값의 이해’를 주제로 기상청 온라인 기상강좌를 통해 “7월 이후 발생한 폭염의 발생 패턴을 보면 상대적으로 중위도의 고기압세력이 강하게 나타난 것과 강한 연관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빙하가 빨리 녹으면서 제트기류(대류권의 상부에 존재하는 폭이 좁은 강풍대)를 약화, 이는 대기의 이동을 막아 고기압의 ‘블로킹’ 현상을 유도했다는 설명이다. 이른바 상층 고기압이 공고화되는 ‘열돔’ 현상이다. 지난 6월 북극해빙이 크게 수축하면서 북극의 온도가 양의 지수를 강하게 유지하며 제트기류가 약해졌다.

여기에 올해 전지구적으로 해수면의 온도가 최근 10년사이 가장 더웠다. 국지적으로 도심 열섬(도시의 기온이 교외보다 높아지는 현상)도 서울 강남 등 도시화가 높은 일부 지역의 극한 폭염을 유발한 원인이다.

폭염은 다음주까지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 센터장은 “내달 5일까지 한반도의 상층 고기압은 열대 저기압에 의해 흐트러지지 않고 발달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며 “이에 다음주까지는 폭염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다만 상층 고기압 세력이 2018년만큼 강하게 발달하지는 않아 2018년같은 대폭염은 아닐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2018년 7월까지 전국 기준 폭염일수는 15.4일 발생한데 비해, 올해는 26일까지 4.5일에 불과했다.

극단적인 폭염이 발생할 때, 도심 한가운데의 체감기온은 실제 공표되는 기온을 훨씬 웃돈다. 고층건물과 큰 도로가 위치한 지역에서의 체감온도는 ‘경고’ 수준으로 기온이 급상승한 반면, 낮은 층수의 주택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비교적 체감온도가 낮아 ‘주의’ 단계에 그친다. 그만큼 인공열과 콘크리트 복사열이 도심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는 뜻이다.



지구온난화가 폭염의 강도를 강화시키고 있는 만큼, 단기적으로 더위를 피하는 폭염대책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 이 센터장의 지적이다.

그는 “무더위쉼터나 무더위휴식제 같은 폭염을 피하는 대책 외에도 전력수급, 전염병, 농작물·가축·양식장 피해 등 장기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광화문 1.5m 기온분포
상층 정체 고기압(블로킹)은 과거에도 빈번하게 발생했으나, 최근 여름철 블로킹은 기록적인 기온 상승으로 이어지며 폭염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과학계에서는 지구 온난화와 높은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블로킹의 발생 빈도와 지구온난화는 뚜렷한 연관성을 아직은 찾지 못하고 있다. 즉 향후에도 지구온난화로 인해 극한기상이 나타날 수는 있지만, 빈번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예상은 현재로선 어렵다는 뜻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북극해빙과 고위도의 적설이 감소하면서 열대와 북극간의 온도차이가 줄어든다. 이는 중위도의 제트기류를 약화시키고, 고기압이 정체로 이어진다는 것이 학계에서 제기하고 있는 가설이다. 그러나 실제 연구결과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국제학술지에 보고된 최근 논문에 따르면 산업화 이전인 1950년대와 비교해 온실가스 농도는 뚜렷하게 상승했음에도 블로킹의 발생 빈도 증가세는 뚜렷하지 않았다.

아울러 미래 예측 기후모델에서도 뚜렷한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센터장은 “미래예측 모델 절반은 블로킹이 줄어들 수 있다는 결과가 나온다”며 “기후모델이 전지구적 순환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과학기술의 한계”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