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추미애, 盧탄핵 반대했지만 당론때문이었다?

by유태환 기자
2017.08.01 17:29:05

秋, 최근 "盧탄핵 막는 입장…하지만 당론 채택" 주장
하지만 과거 "盧탄핵 사유, 줄여도 책 한 권" 강조
끝까지 탄핵 반대 의원, 표결 자체 불참…변명 궁색
盧기자회견·대리사과, 조목조목 근거 들어 비판도

지난달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7월 임시국회 본회의에서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부채질을 하고 있다. (사진=신태현 기자)
[이데일리 유태환 기자]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사유는 줄이고 줄여도 책으로 만들 정도다.”

지난 2004년 3월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이 가결되고 며칠 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당시 새천년민주당 의원)가 한 말이다.

하지만 추 대표는 지난달 31일 보도된 한 일간지와의 인터뷰에서는 ‘노 전 대통령 탄핵에 앞장섰다는 꼬리표가 붙어 있다’는 지적에 “앞장선 것은 아니고, 오히려 탄핵을 막는 입장이었다”며 “하지만 탄핵이 당론으로 채택됐다”고 주장했다.

자신은 탄핵을 계속 반대했지만 당론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고 해명한 것이다. 추 대표는 같은 달 18일 한 예능방송에서도 “탄핵은 아닌 것 같다. 하지 말자고 했다”며 “제가 바꾼 건 끝까지 반대해도 이미 당론으로 하기로 돼 있었고 공천을 가지고 압박도 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이데일리는 1일 노 전 대통령 탄핵의 정당성을 강조했던 추 대표의 과거 발언과 그에 상반되는 최근 주장 중 어느 쪽이 사실에 들어맞는지 2004년 탄핵을 전후한 상황을 바탕으로 검증해봤다.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을 통해 ‘대통령(노무현)탄핵소추안’ 원문을 확인해 보면 법안 발의 의원 159명 명단에 ‘추미애’ 이름 석 자는 없다.



실제로 2004년 3월 5일 열린 새천년민주당 의원총회에 참석한 40명 중 추미애 의원과 설훈 의원은 탄핵 발의에 반대했고 이에 새천년민주당은 나머지 38명의 서명을 받아 노 전 대통령의 사과를 전제로 한 조건부 탄핵발의를 결의했다. 사과 내용은 중앙선관위로부터 선거법 위반 결정을 받은 것과 측근비리에 대한 것이었다.

하지만 추 대표가 이 같은 탄핵 반대 기조를 끝까지 견지한 것은 아니다. 더욱이 탄핵 동참으로 돌아선 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탄핵을 끝까지 반대한 같은 당 소속 설훈 의원(현 민주당 의원) 등이 탄핵 표결 자체에 불참한 것과 비교해보면 당론에 이끌려 노 전 대통령을 탄핵했다는 주장 역시 설득력이 떨어진다.

당시 당론에 대한 의사결정을 주도하는 상임중앙위원(현재의 최고위원 개념)이던 추 대표가 당론을 탄핵 이유로 꼽는 것 역시 모순이라는 지적이다.

노 전 대통령은 탄핵안 가결 하루 전인 3월 11일 청와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지만 “잘못이 뭔지는 잘 모르겠는데 시끄러우니까 그냥 사과하고 넘어가자. 그래서 탄핵을 모면하자. 이렇게 하시는 뜻이라면 그것은 제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라고 사과요구를 일축했다. 이어 총선결과에 자신의 재신임을 연계하겠단 뜻도 밝혔다.

그러자 추 대표는 “선거에 개입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으면 탄핵발의에 동참하지 않았던 내가 찬성론자들을 말릴 수 있었을 것”이라며 “그러나 총선결과로 재신임을 하겠다며 대국민 협박을 한 것을 보고 탄핵하지 말자고 할 수가 없었다”며 입장 번복의 배경을 노 전 대통령 탓으로 돌렸다.

또한 탄핵안 가결 당일인 3월 12일 이병완 청와대 홍보수석의 “잘잘못을 떠나 국민 여러분께 오늘과 같은 대결국면의 탄핵 정국에 이르게 된 것을 참으로 죄송하게 생각한다”는 대리사과에도 추 대표는 “대리인을 시켜서 국민 여러분께 사과한다 하면서 모든 책임을 국회에 전가한다면 의미가 없다”고 날을 세웠다. 탄핵 가결 뒤에도 추 대표는 “탄핵 이후 국정 불안을 우려해 탄핵소추를 반대했을 뿐 탄핵 사유가 틀려서 반대한 것이 아니었다”며 지금과는 정반대되는 주장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