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해시계 '앙부일구' 3점 보물됐다

by이윤정 기자
2022.02.22 17:39:05

자치통감·금동약사여래입상도 지정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조선시대 공용 해시계 ‘앙부일구’(仰釜日晷) 3점이 한꺼번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이 됐다.

문화재청은 2020년 미국에서 들여온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앙부일구와 국립경주박물관, 성신여대박물관에 있는 앙부일구를 모두 보물로 지정했다고 22일 밝혔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앙부일구’(사진=문화재청).
‘앙부일영’이라고도 하는 앙부일구는 조선시대 천문사상이 담긴 과학문화재로, 솥을 뒤집어 놓은 듯한 형태가 특징이다. 세종 16년(1434) 장영실, 이천, 이순지 등이 왕명에 따라 제작해 종로에 있던 다리인 혜정교와 종묘 앞에 설치했다. 다만 조선시대 전기 앙부일구는 남아 있지 않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유물 3점도 1713년 이후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겉면에 ‘북극고 37도 39분 15초’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고, 안쪽에는 북극으로 향한 그림자침인 ‘영침’이 달렸다. 15분 간격의 시각선과 계절과 절기를 알려주는 눈금도 있다. 오목한 몸체를 다리 네 개가 받치고 있으며, 다리에는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용이 표현됐다. 재질은 모두 황동이다.



현존하는 앙부일구는 10점으로 알려졌다.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또 다른 앙부일구가 1985년 처음으로 보물이 됐다. 이번에 추가로 세 점이 보물로 지정되면서 보물 앙부일구는 4점으로 늘었다.

‘자치통감 권266~270’(사진=문화재청).
앙부일구 외에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보유한 ‘자치통감 권266∼270’과 조선 후기 불상인 ‘경주 분황사 금동약사여래입상’도 보물로 지정했다. 자치통감 권266∼270은 1434년에 만든 금속활자인 갑인자로 1436년에 찍은 책이다. 송나라 사마광이 편찬한 중국 역사서인 자치통감은 294권으로 구성되며 그중 5권 분량에 해당한다. 유사한 판본이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있는데, 이 책은 인쇄와 보존 상태가 뛰어난 희귀본이다.

경주 분황사 금동약사여래입상은 높이가 3.4m에 이르는 대형 불상이다. 1998년 분황사 보광전 해체·수리 과정에서 나온 기록을 통해 1609년에 구리 5천360근으로 제작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우람한 몸체와는 달리 얼굴이 동그랗고 통통하며 어깨가 왜소해 아이 같은 인상을 준다. 앳된 느낌의 이목구비는 16세기 불상 양식의 흔적이고, 길쭉한 비례감과 세부 주름은 17세기 불상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경주 분황사 ‘금동약사여래입상’(사진=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