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경영 전화 고통…블록체인 5만명 여론조사로 해결하세요”

by최훈길 기자
2022.01.26 17:17:32

‘블록체인 특허수 1위’ 코인플러그 어준선 대표 인터뷰
홍보 전화·1000명 조사 아닌 블록체인 기반 조사 추진
“조사기관만 수익 독점 안돼”, 5만 응답자에 코인 보상
“도박·사기라고 할 게 아니라 가상자산 신산업 육성 필요”

[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허경영 대선 후보가 여론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다며 홍보 전화를 많이 돌린 일이 있었잖아요. 그런데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손쉽게 여론조사를 할 수 있습니다. 수억 원을 쓰지 않아도 수만 명 의견을 들을 수 있답니다.”

지난 20일 성남시 분당구 사옥에서 만난 어준선(사진·58) 코인플러그 대표의 말에 자신감이 묻어났다. 코인플러그는 호주 지식재산청 선정 ‘세계 최고 혁신 기업’에 꼽힌 탄탄한 블록체인 전문 기술 기업이다. 보유한 블록체인 특허 수만 340개에 달해, 국내에서 가장 많다. 알리바바, IBM에 이은 세계 3위 특허 보유 수다. 최근에는 김동연 대선 후보의 영상 NFT(대체불가 토큰)를 발행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 보폭을 넓히는 중이다.

어준선 코인플러그 대표이사. △1964년 부산 출생 △1987년 고려대 전자공학과 졸업 △1987년~2000년 현대전자 개발팀장 △2000년~2003년 시스코 시스템즈 매니저 △2004년~2013년 셀리지온 연구소장(CTO) △2017년 BNK금융그룹 핀테크발전협의회 자문위원 △2018년~2019년 4차산업혁명특별위원회(블록체인) 자문위원 △2017년~ TTA ISO/TC 307(블록체인) 전문위원회 전문위원 △2019년~ 부산 블록체인 특구 운영위원 △2019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표준심의회 전문위원 △2018년~ 과기부 ICT R&D사업심의위원회 심의위원 △2013년~ 코인플러그 창업, 대표이사. (사진=최훈길 기자)


대선을 앞두고 어 대표가 주목하는 키워드는 ‘폴(Poll·여론조사)’이다. 전국 1000명 가량 응답자에 10% 안팎의 낮은 응답률을 보이는 여론조사가 얼마나 민심을 정확하게 반영하는지 의문이 들었기 때문이다.

전자공학과 출신인 그는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서베이’ 서비스로 새로운 여론조사를 시도해보자”며 팔을 걷어붙였다. IT 개발자들과 머리를 맞댔다. 이 결과 온라인 투표·설문서비스 ‘더폴(THE POL)’을 만들어냈다. 신원 인증, 해킹 방지에 탁월한 블록체인 분산신원인증(DID) 기술을 적용하면서 개인정보 유출, 중복투표 문제를 개선했다. 현재 더폴에 등록한 회원 수만 30만 명, 설문 한 건당 평균 응답자만 5만 명에 달한다.



이렇게 회원 수가 늘어난 것은 보상을 공유하는 구조도 영향을 끼쳤다. 더폴 여론조사에 참여한 응답자 모두에게 코인(메타디움)이 제공된다. 이를 가상자산거래소에서 현금으로 바꾸면 된다. 의뢰자는 기존 여론조사 기관보다 저렴한 가격에 의뢰하고, 응답자는 수익을 공유하며, 코인플러그는 중계 수수료를 일부 받는 구조다.

어 대표는 “왜 여론조사 기관만 수익을 독점해야 하는가”라며 “누구나 쉽게 참여해 투명한 절차를 거쳐 골고루 수익을 나눠갖는 게 블록체인과 웹 3.0의 정신”이라고 지적했다. 블록체인을 통해 온라인에서 전 과정이 이뤄지다 보니, 불과 반나절 만에 성별·세대별 조사 결과까지 받아볼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부 ICT R&D사업심의위원회 심의위원도 맡은 그는 “앞으로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다양한 산업 진흥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NFT, DID, 디파이(탈중앙화금융), 클라우드 등을 국가적으로 챙겨야 할 분야로 꼽았다. 어 대표는 “페이스북이 메타로 이름을 바꾸고 메타버스 사업에 나서고, 마이크로소프트(MS)가 게임사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인수했다”며 “우리도 국가적으로 가상자산 산업 구조를 고민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이어 “코로나19 시기에 가상자산 시장 외에는 일자리를 창출을 하기 힘들다”며 “공무원들이 코인·NFT·메타버스를 도박이나 사기라고 결론 내릴 게 아니라 글로벌 기업들이 왜 가상세계로 사업을 넓히는지를 봐야 한다”고 했다. 이어 “현재 공무원들이 가상자산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꾸지 않고서는 어떤 제도를 만들어도 한계가 있다”며 “정부와 기업이 가상산업을 키우는 방향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