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윤화 기자
2020.04.06 16:48:41
가맹본사 참여 미미, 프랜차이즈 메뉴 한정에 소비자 불편
민간 배달앱 비해 홍보·마케팅 비용 부족, 정부도 지원 외면
수수료 ‘0원’에 대비해 지속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 갖춰야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국내 점유율 1위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의 수수료 개편이 자영업자들의 수수료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지적이 잇따르면서 공공배달앱을 도입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실제로 경북도경제진흥원, 경기도 등은 무료 공공배달 앱 개발에 나섰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4년 앞서 만들어졌던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의 배달앱 ‘프랜고(Frango)’의 실패 사례를 예로 들며, 제대로 된 시장조사나 시스템을 갖추지 않고 무턱대고 앱만 개발한다면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6일 정치권과 프랜차이즈 업계에 따르면 배달의민족의 새로운 수수료 체계에 맞서 공공배달 앱을 도입하고 영세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을 위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이 나오고 있다.
배달의민족은 최근 수수료 체계를 정액제에서 건당 수수료를 내는 방식으로 바꿨다. 한마디로 ‘파는 만큼 수수료를 더 내는’ 체계가 된 것. 이와 반대로 정부와 지자체가 중심이 돼 만드는 공공배달 앱의 핵심은 사업자에게 가입비·수수료·광고료 등 3무(無) 조건으로 앱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수료 인상에 더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소상공인을 위한다는 취지다.
지자체가 도입하고자 하는 공공배달 앱은 2016년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가 만들었던 ‘프랜고’와 비슷한 형태다. 당시 일부 배달앱이 과도한 수수료를 요구하자 협회가 회원사들의 권익 보호 차원에서 앱을 개발했다. 앱 운영 등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수료 3~4%만 받고 운영했다. 하지만 시범운영기간인 3개월을 포함해 채 6개월도 지나지 않아 배달의민족·요기요 등에 빌려 시장에서 사장됐다.
실패 원인은 크게 △마케팅 비용 부족에 따른 홍보 미비 △가맹 본사의 저조한 참여율 △프랜차이즈 메뉴 한정에 따른 편의성 부족 등으로 분석된다.
프랜고 도입을 주도했던 조동민 전(前)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장은 “지금은 커피도 배달해 먹는 시대가 됐지만 4년 전만 해도 치킨·족발·피자 등 배달 메뉴가 한정적이었고, 음식 배달시장 규모도 크지 않았기 때문에 프랜고를 만들어도 대기업 프랜차이즈의 참여가 적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배달의민족, 요기요 등은 TV, 온라인 광고 등에 막대한 마케팅 비용을 쏟아부었고 그러다 보니 홍보가 부족한 프랜고는 소비자들에게 외면 받게 됐다”고 말했다.
조 전 회장은 “지자체가 추진하는 공공배달 앱이 시장 한정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지역마다 다른 시스템으로 운영된다면 배달의민족과의 경쟁에서 참패하는 것은 물론 ‘전시 행정’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소비자 편의성을 생각하지 않고 배달의민족의 수수료 정책을 ‘횡포’라고 비판하며 국민들에게 ‘전화 주문을 해달라’는 민주당의 요구도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이다. 조 전 회장은 “이미 배달 앱의 편의성에 익숙해진 소비자들에게 영세 자영업자들을 돕고자 하는 마음만으로 호소하는 것이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