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폭풍’ 대비하는 장인화…포스코, 배터리 탈중국 총력전
by김은경 기자
2024.12.11 17:04:46
취임후 이차전지 투자 약속 이행
‘中 공급망 배제’ 리튬 조달 확대
연산 6.8만t 리튬 생산능력 확보
업황 회복시 소재시장 선점 가능
[이데일리 김은경 기자]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올해 취임 후 선언했던 이차전지(배터리) 소재 분야 투자를 계획대로 이행해 나가는 모습이다. 전방산업인 전기차 시장이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에 빠졌지만 향후 시황이 회복됐을 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선 지속적인 투자가 필수라는 판단에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홀딩스가 전날 호주 광산기업 핸콕과 추진한다고 발표한 연산 3만톤(t) 규모의 리튬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회사는 약 10만t에 달하는 리튬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양사는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 중 최적의 리튬 공장 설립 후보지를 함께 검토하기로 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11월 전남 율촌산업단지에 광석 기반 수산화리튬 제1공장을 준공한 데 이어 지난달 말 제2공장까지 준공하면서 총 연산 4만3000t 규모의 리튬 생산 체제를 갖추게 됐다. 올해 준공한 아르헨티나 염수리튬 1단계(2만5000t)까지 합치면 연산 총 6만8000t을 확보했다. 이는 전기차 약 160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 포스코그룹이 지난달 29일 전남 율촌산업단지에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의 수산화리튬 제2공장을 준공했다. 사진 왼쪽부터 강석훈 한국산업은행 회장, 스티브 스쿠다모어 필바라미네랄스 사외이사, 제프 로빈슨 주한호주대사,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한덕수 국무총리, 김영록 전남도지사, 권향엽 국회의원,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사진=포스코그룹) |
|
포스코홀딩스가 리튬 국산화에 사활을 건 이유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대중국 규제가 더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중국에 대한 고관세 정책 등 규제 강화를 시사해 왔다.
이에 따라 업계에선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해외우려집단(FEOC) 기준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기준으로도 북미에서 차량당 최대 7500달러의 전기차 보조금을 받으려면 배터리 부품은 올해부터, 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 광물은 내년부터 FEOC에서 조달할 수 없다. 미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세부 규정안에서 FEOC를 사실상 중국에 있는 모든 기업으로 규정했다. 미국 시장에 판매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FEOC 외 공급망 구축이 필수인 이유다.
포스코그룹은 선제적인 투자로 미국 FEOC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안정적인 리튬 원료 공급망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이를 통해 향후 전기차 캐즘에서 벗어나 시황이 회복될 때 소재 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는 그룹 내 이차전지 전반 밸류체인(가치사슬) 강화로 이어지고 있다. 포스코그룹의 이차전지 소재 계열사인 포스코퓨처엠(003670)은 이달 초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과 양극재 제조용 수산화리튬 2만t 구매·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은 포스코홀딩스가 2021년 호주 광산 개발 회사인 필바라미네랄스와 합작해 광양에 설립한 수산화리튬 제조사다. 이곳에서 생산한 리튬을 양극재 계열사로 조달해 ‘광산→수산화리튬→양극재’로 이어지는 일관 공급 체제를 완성한 것이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를 미국 수출용 양극재 생산에 전량 사용할 계획이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그룹 내 이차전지소재 기업들이 속속 양산체제를 구축하고 있어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 외에도 아르헨티나 염수를 원료로 하는 포스코리튬솔루션, 니켈 전문회사 SNNC, 폐배터리에서 원료를 추출하는 포스코HY클린메탈 등 그룹 내 안정적 원료 공급망을 바탕으로 경쟁사 대비 원료 조달 경쟁력에서 한층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