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최고위원 후보 17인, `50대·현역의원` 일색…다양성은 실종

by이수빈 기자
2022.07.19 18:49:33

8.28 전당대회 앞두고 최고위원에 17명 출마
50대, 현역의원, 수도권 출신 중심
친명 대 반명 구도도 계속될 것으로 보여
전문가 "기성 정치인들만 출사표…다양성 떨어져"

[이데일리 이수빈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새로운 지도부를 뽑는 8.28 전당대회 후보자 등록이 18일 마감됐다. 이번 최고위위원 선거에는 무려 17명의 후보가 몰리며 역대급 경쟁이 예고되고 있다.

다만 50대, 현역의원, 수도권 등 특정 집단에 치중되며 민주당 지도부가 다양성을 반영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더욱이 ‘친명(친이재명) 대 비명(비이재명)’ 구도가 선명하게 나타나며 계파 갈등만 불거졌다는 분석이다.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후보자 포토세션에서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 도종환 중앙당 선거관리위원장 및 최고위원 예비후보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국회사진기자단)
최고위원 예비후보 17명 중 10명이 현역 의원으로 후보의 과반을 넘는다. 지난 6일 정청래 의원을 시작으로 고민정, 고영인, 박찬대, 서영교, 송갑석, 양이원영, 윤영찬, 이수진(동작 을), 장경태 의원이 최고위원 출마를 선언했다. 원외에선 권지웅 전 비상대책위원, 김지수 당 ‘그린벨트’ 공동위원장, 박영훈 전 민주당 대학생위원회 위원장, 안상경 권리당원, 이경 전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 이현주 강서미래포럼 대표, 조광휘 전 인천시의원이 출사표를 던졌다.

원외 인사들에겐 예비경선(컷오프)이 큰 관문이다. 기초단체장·지역위원장·당 지도부·의원으로 구성된 중앙위 100%로 예비경선을 치르기 떄문이다. 현역 의원에 비해 당내 입지가 약하고 인지도가 낮은 원외 인사들에게 불리한 조건이다. 결국 현역 의원들이 최고위원 선거에 대거 뛰어들면서 다양성을 반영하기 어려워진 셈이 됐다.

연령층도 비교적 편중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양이원영(51) 의원을 시작으로 서영교(58) 의원까지 50대 출마자만 10명, 20대는 단 한 명에 불과하다. 30대와 40대는 각각 3명이다. 대선과 지방선거 과정에서 586(50대, 80년대 학번, 60년대생) 그룹의 용퇴론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지만, 사실상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것이다.

예비후보들의 연고도 수도권에 쏠려 있어 ‘수도권 정당’이라는 비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구 의원 출마자들의 선거구를 살펴보면 10명 중 8명이 수도권 선거구 출신이다. 고민정(서울 광진구 을), 고영인(경기 안산시 단원구 갑), 박찬대(인천 연수구 갑), 서영교(서울 중랑구 갑), 윤영찬(경기 성남시 중원구), 이수진(서울 동작구 을), 정청래(서울 마포구 을), 장경태(서울 동대문구 을)가 이에 해당한다. 유일한 호남 연고 후보인 송갑석(광주 서구 갑)의원은 13일 출마 기자회견에서 “비수도권의 유일한 최고위원 후보로서, 호남은 물론 영남·충청·강원·제주 등 전국 각지의 민심을 대변하겠다”고 말했다.

우상호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도 지난 17일 기자간담회에서 “지도부 구성이 다양해야 한다는 건 우리 당의 오랜 과제”였다며 “고민은 있지만 지금 정해진 당헌·당규대로 경선이 진행될 거고 당원과 국민께서 잘 판단해주실 거라 믿는다”고 밝혔다.



반면 `어대명`(어차피 당대표는 이재명) 기류가 이어지며 ‘친명’과 ‘비명’이라는 계파색만 분명해지는 상황이다.

박찬대 의원의 경우 “이재명과 함께 승리하는 민주당을 만들겠다”며 노골적으로 이재명 의원 지지를 시작했고, 친명계로 분류되는 다른 의원들도 ‘이재명 마케팅’을 벌이고 있다.

‘비명계’로 분류되는 고민정, 고영인, 송갑석, 윤영찬 의원 등은 이 의원에 대해 분명하게 선을 긋고 있다. 고영인 의원은 13일 기자회견에서 “책임질 사람들이 책임지지 않고 계속 전면에 나서게 되면 제대로 된 평가가 이뤄지기 어렵다”며 이 의원을 저격하기도 했다.

최고위원 선거가 ‘친명 대 비명’으로 흘러가는 만큼 당 지도부가 당을 향한 비전 제시 없이 노골적인 계파색 드러내기 일색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역대급 출마 선언에도 숫자만 많을 뿐 다양성은 떨어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기왕이면 기성정치에 덜 물든 사람이 출사표를 던지는 게 흥행에 도움이 됐을 것”이라며 “(예비후보의) 출신, 배경, 연령 등에서 다양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박상영 정치평론가 역시 “당원들이 새로운 민주당을 원하더라도 지금은 윤석열 정부에 대항할 수 있는 ‘강한 민주당’을 원하기 때문에 다양한 배경 가진 지도부를 구성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