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정태선 기자
2015.03.17 17:28:39
"신흥 산업, 서비스 산업 등으로 돌파구 마련해야"
[이데일리 정태선 기자]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가 우리나라 대중수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미국 등 선진국 수출이 회복되고 있으며, 인프라투자 확대, 통화정책 완화 등 다양한 미니부양책을 실시해 경기 하강을 억제할 것”이라며 이 같이 예상했다.
중국정부는 전국인민대표대회를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7%로 하향했다. 2004년 7% 목표 이후 11년 만에 최저치다. 합리적인 성장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목표를 하향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인프라 투자 등으로 경기 하락을 방어하고 있다.
중국은 올해 재정적자를 작년보다 2700억 위안 늘어난 1조 6200억 위안으로 책정하고, 적자율을 지난해 2.1%에서 2.3%로 확대하는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도 실시하기로 했다. 또 통화(M2)증가율 목표를 지난해 13%에서 12%로 하향 조정했지만 공개시장조작, 금리, 지준율, 재대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유동성을 확대해 경기 하락을 억제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지역통합 개발사업 등을 통해 철도, 도로, 수리, 물류시스템 등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소비확대를 위해 서비스산업과 전자상거래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특히 제조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앞으로 10년간 혁신·스마트·산업 기반 강화·녹색 발전에 집중하겠다며 △중국제조에서 중국창조로, △중국속도에서 중국품질로, △중국제품에서 중국브랜드로 등 3대 과제를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첨단장비, 정보네트워크, 집적회로, 신에너지, 신소재, 바이오, 항공엔진, 가스터빈 등 신흥 제조 산업이 부상하고 있고, 모바일인터넷,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을 현대 제조업과 결합·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이봉걸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의 경제성장률 둔화는 예견됐던 것으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중국이 중속성장 시대로 접어듦에 따른 새로운 대중국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최근 가서명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는 어떻게 준비하고 활용하냐에 따라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