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관용 기자
2025.06.24 16:23:53
중동 분쟁 등에서 미사일 위협 대응능력 주목받는데
국정기획위, 방사청에 보복 능력 기반 억제력 주문
文정부 북핵대응TF,'괴물 미사일' 프로젝트 가동
美와 협상서 탄두중량 해제, '세계 최강' 미사일 개발
'대량응징보복' 전력 건설로 억제력 강화 방점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최근 중동 지역 분쟁에서 미사일 등 공중 위협의 치명성이 부각되면서 방공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재명 정부의 밑그림을 그리는 국정기획위원회가 군 당국에 방어 보다는 ‘대량응징보복’ 중심의 전력 건설을 주문해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국정기획위 홍현익 외교안보분과장은 지난 22일 기자간담회에서 한국형 3축 체계 중 선제타격체계(Kill chain)과 한국형미사일방어(KAMD) 체계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내면서 보복 능력 기반의 억제력 강화 방안을 군 당국에 주문했다. 그는 “사전에 공격하거나 요격하는 건 가능성도 크지 않고 비용도 많이 든다”면서 “재래식 무기로 북한에 보복할 수 있는 방안은 얼마든지 할 수 있기 때문에 방위사업청에 선택과 집중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 군은 감시·정찰 자산 확충과 타격 수단 다양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장사정포요격체계(LAMD)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 M-SAM-II(천궁-II)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 L-SAM에 더해 △고고도요격유도탄(L-SAM-II) 등의 다층 방공망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또 대량응징보복(KMPR)을 위한 ‘우레’라는 이름의 전술지대지유도무기(KTSSM)와 탄두 중량을 다양화 한 ‘현무’ 탄도미사일 시리즈도 전력화 하고 있다. 국정기획위의 요구는 이들 자산을 더 확대에 보복 능력을 강화하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문재인 정부 추진했던 대량의 재래식 무기를 통한 전술핵급 파괴력 달성 전략을 재추진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