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IS가담 ‘대구근무’ 인도네시아인 사망”(종합)

by강신우 기자
2015.11.18 18:02:37

국내 체류 시리아 난민 135명, 65명은 공항서 입국 심사중
국내 젊은층·이슬람 노동자 중 IS에 호감가진 이들도 있어
여야, ''테러방지법'' 제정 필요성에 공감···관련 예산 1000억 증액

[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국가정보원은 18일 수니파 이슬람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에 가담한 인도네시아인이 대한민국 대구광역시에서 2년간 근무했던 근로자였으며 사망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체류 중인 시리아 난민이 135명에 달하며 65명은 공항에서 법무부가 계속 심사 중이라고 했다. 특히 지난 8월 IS가 간행물을 통해 우리나라를 미국 주도의 ‘십자군 동맹’에 포함해 테러 대상국으로 분류했고, 국내 젊은층과 이슬람 노동자 중에도 IS에 호감을 느낀 이들이 있다고 했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프랑스 파리 테러 관련 긴급 현안보고’에 참석한 이병호 국정원장이 이 같은 내용을 여야 위원들에게 보고했다.

정보위 여당 간사인 이철우 새누리당 의원은 회의직후 기자들과 만나 “인도네시아인이 우리나라 대구에서 2년간 근무했는데 IS에 가입해 사망했다”면서 “(신변확인을 하니) 한글이 있고 관련 자료가 명함 같은 게 한글로 돼 있어서 보니까 대구에서 근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정보위 야당 간사인 신경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도 “국내에 취업했던 인도네시아인이 지난 2월에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취업자 중 IS에 가담한 것이 확인된 것”이라고 말했다.

신 의원은 “우리나라에 시리아인 200명이 난민 신청을 했다. 인도적 체류허가로 준난민 지위 획득 후 거주지 신고를 마쳤다”며 “나머지 65명은 심사를 위해 공항에서 대기 중”이라고 전했다.



그는 “지난 8월 IS잡지에서 우리나라도 ‘십자군동맹’에 포함된다며 우리도 주시하고 있고 국내 젊은이·이슬람 노동자 중 IS에 관심과 호감을 보내는 이들이 있다”면서 “IS가 손을 뻗칠 수 있는 잠재적 테러 인프라 구축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위협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시리아 난민 200명에 관심이 많은데 유럽은 보트, 우리나라는 비행기를 타고 들어온다”고 했다.

테러 의심요소가 곳곳에서 확인된 가운데 앞서 새누리당과 정부는 국회에서 ‘테러방지종합대책’ 당정협의를 하고 테러 방지를 위해 예산 1000억원 증액을 검토하기로 했다.

예산증액 편성 외에도 여야는 대테러방지법 등 이른바 ‘테러방지3법’도 빠른 시일내 제정하기로 했다. 대테러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고 인터넷 테러 예방과 테러 단체의 자금흐름을 분석해 테러를 예방하자는 취지로 △대테러기본법 △사이버테러방지법 △금융정보분석원법(FIU) 등이 해당한다. 이 의원은 당정협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들 법안은 여야 원내대표간에 제정하기로 합의했고 정보위에서는 오는 27일 법안소위를 열기로 요청해놨다”며 “우리나라도 테러 안전지대가 아니기 때문에 야당도 테러 관련법 제정에 응해줄 거라고 본다”고 했다.

신 의원은 테러방지법 제정과 관련해선 “법 제정 필요성은 인정한다. 다만 법을 빨리 만들기보다는 여러 가지로 확인과 연구를 해서 제대로 된 법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특히 현재 국정원이 신뢰를 받을 수 있느냐의 문제가 있다. 법이 없어서 안 하는 게 아니라 시스템과 능동적 자세 문제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