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이 편안히 살도록 하는 게 시장의 첫 덕목"

by정재훈 기자
2022.04.19 17:19:50

[예비후보에게듣는다]민경선 더불어민주당 고양시장 예비후보
"시장이 시민과 매일 만나는 것이 일머리 시작"
"공직사회가 바뀌면 도시 분위기도 확 바뀔 것"
특례시로 교통여건개선·자족도시 포부도 밝혀
"시민이 겪는 부당함에 함께하는 시장이 될 것"

[고양=이데일리 정재훈 기자] “시민이 편안하게 살 수 있도록 시장이 해야 할 첫 번째 덕목은 ‘일머리’라고 생각한다. 민심을 바로 듣고 깨어 있는 시장, 시민이 겪는 부당하고 불합리한 모든 것에 앞장서서 ‘착한 싸움’을 이어가는 시장, 고양시를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겠다.”

6·1 지방선거에 고양시장 후보로 출사표를 던진 민경선(52)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는 19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민경선 예비후보는 전북 정읍 출생으로 한반도 평화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국회의원 비서관·보좌관을 역임했고 고양시 제4선거구에서 제8·9·10대 경기도의원을 지냈다.

민경선 예비후보.(사진=선거사무소 제공)
민 예비후보가 가장 강조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일머리’다. 일머리란 ‘어떤 일의 내용과 방법, 절차 따위의 중요한 줄거리’라는 의미가 있는 말로 민 예비후보가 시민의 편의를 위해 가장 강조할 때 입버릇처럼 말하는 단어다. 민 예비후보에게 있어 ‘일머리’의 시작은 부당한 것이 있다면 함께 싸우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는 “내게 있어 이런 의미의 일머리는 지금껏 가장 잘 해왔던 일이고 앞으로도 누구보다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이라고 정의하고 싶다”며 “3선 경기도의회 의원으로서 의정활동을 하면서 ‘착한 싸움꾼’으로 불린 이유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민 예비후보는 시장실을 시청 1층으로 배치해 시장이 직접 시민과 소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 예비후보는 “시장이 직접 시민을 만나 불편함을 듣고 지역 돌아가는 이야기를 들으면 고양시 공직사회가 저절로 일하는 분위기로 바뀔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그렇게 되면 나중에 고양시 공직사회 구성원 모두가 시장과 같은 책임감을 갖고 적극적인 행정을 펼칠 수 있다”고 말했다.

시장을 비롯한 공직사회의 적극적인 자세를 ‘일머리’의 시작이라고 설명한 민 예비후보는 이를 통해 고양시민이 현재 가장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는 것 중 하나로 ‘교통여건’을 꼽았다. 서울로 출퇴근하는 인구가 경기도의 그 어는 지자체보다 많은 고양시의 특성상 교통여건 개선은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가장 중요한 사항 중 하나라는 게 그의 판단이다.



이를 위해 민 예비후보는 ‘교통개선추진단’(가칭)을 시청 내 공식기구로 신설해 시민의 교통편의를 위한 모든 업무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그는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은 물론 지역 내 교통여건 개선을 통해 시민이 바로바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이러한 교통여건 개선 자체가 행정서비스에 속하는 만큼 시청 내 교통분야의 새로운 조직을 만들어 교통분야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속전속결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민 예비후보는 도시의 ‘베드 타운화’를 막기 위한 대책으로 시민이 고양시 안에서 일하면서 먹고 살기가 충분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주 여건을 갖춰야 한다는 의미다.

그는 “시장과 공직사회가 기업에 부탁하기보다는 기업이 앞다퉈 고양시로 오고 싶게 하면 기업유치라는 말 자체가 필요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민 예비후보는 기업에 규정과 시의 재정 여건이 허락하는 선에서 세제혜택과 사업장 부지에 대한 조성원가 수준의 공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민 예비후보는 “기업은 이윤을 따라 움직이게 돼 있어 고양시에서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도록 조건을 제시할 때 오지 말라 해도 올 수밖에 없다”며 “여러 방안을 검토·시행해 기업을 유치하면 특례시로서도 점차 자족도시의 면모를 갖출 수 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문화·체육 활동 등 고양에서 사는 소소한 즐거움을 선사하기 위해 과감한 재정투자가 필요하다고 했다. 민 예비후보는 “현재 지자체 재정은 중앙부처와 광역자치단체의 눈치를 살필 수밖에 없는 구조다”며 “인구 100만 이상 ‘특례시’의 지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시민의 편의를 위해 지방채 발행에도 과감하게 나서는 등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방재정을 화끈하게 쓰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