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원 넣고 30배 먹는다…주식판 깨지자 도박판 열렸다

by김인경 기자
2022.07.05 18:28:03

해외파생상품 거래금액, 올해 1~5월 6360조원에 이르러
개미 비중 78.8%…2018년 42.5%에서 5년만에 36.3%p↑
서학개미는 3배 레버리지…코인족은 BTC와 선물로
"투기적 수요 몰려…대다수는 리스크에 손실" 우려도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어차피 한강뷰 아니면 한강이다.’

증시가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는 데다 암호화폐 가치도 급락하자 초고위험 상품에 손을 대는 개미가 증가하고 있다. 주식시장과 암호화폐 시장에서 입은 손실을 단번에 만회하기 위해 리스크는 크지만 투자금액 대비 수십배를 벌 수 있는 상품에 기웃대는 모습이다. 하지만 이 같은 초위험 투자에서 돈을 벌고 간 투자자는 매우 드물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1~5월 국내 전체 투자자들의 해외 파생상품 거래 금액은 총 4조8925억달러(6359조원)로 나타났다. 이 중 개인의 비중은 78.82%(3조8561억달러·5012조원)에 달했다. 지난 2018년 같은 기간만 해도 국내 전체 투자자의 해외 파생상품 거래 금액은 1조9838억달러(2578조원) 수준이었고 개인 비중은 절반도 미치지 못하는 42.51%(8050억달러·1046조원)였다. 하지만 개인들의 해외 파생상품 거래금액은 2019년 1조4604억달러(전체 거래금액의 69.45%)→2020년 2조3757억달러(72.37%)→2021년 2조8408억달러(77.72%)로 팽창했다.

해외 파생상품은 주가지수 뿐만 아니라 채권, 원자재, 통화 등을 기초자산으로 두고, 기초자산의 가치의 변화를 예상해 만든 금융상품이다. 선물이나 옵션, 선물환, 스와프 등이 대표적이다. 기초자산의 가격이 조금만 움직여도 파생상품의 변동성은 극대화된다. 해외 주식 선물의 경우, 증거금 대비 약 10~30배의 레버리지를 일으킬 수 있으며 파운드화나 엔화 등 통화 선물은 이보다 더 높은 20~35배의 레버리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올해 국내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빈번하게 거래한 해외파생상품인 ‘E-mini 나스닥100’은 하루 몇백 틱(1틱=0.25포인트)부터 몇천 틱까지 움직인다. 이 가격 변동폭에 거래승수와 계약수를 곱해 손익을 계산하는데 레버리지는 14배까지 사용할 수 있다. 증권사조차 해외파생상품을 ‘도박에 가깝다’라고 말하는 이유다.



상장지수펀드(ETF)에서도 개미들은 초고위험 상품으로 몰리고 있다. 서학개미의 2분기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 중 4개가 3배 레버리지ETF와 상장지수증권(ETN)로 집계됐다. 나스닥지수의 하루 변동폭을 3배로 추종하는 ‘프로셰어즈 울트라프로 QQQ ETF(TQQQ)’나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의 하루 변동폭을 3배로 따라가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 ETF(SOXL)’에는 최근 3개월간 9억4820만달러(1조2324억원), 7억5800만달러(9852억원)의 매수세가 몰렸다.

암호화폐 시장 역시 비트코인 가격이 2만달러를 하회하며 약세를 보이자 변동성이 큰 BTC마켓과 선물시장만 팽창 중이다. BTC마켓은 해당 알트코인을 비트코인 개수의 가치로 매겨 거래하는 시장으로, 비트코인의 변동성과 알트코인의 변동성을 모두 지니고 있어 변동성이 극대화된다.

전문가들은 높은 레버리지를 추구하는 투자자에 주식이나 코인 시장의 손실 만회를 원하는 투자자의 수요까지 더해지며 당분간 고위험 시장이 팽창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남길남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은 “분산투자 수요도 있을 수 있겠지만 현재는 투기적 수요가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큰 이익을 보는 소수가 있을 수 있다고 해도 대다수는 리스크를 관리하기 힘들어 손실을 볼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금융당국도 초고위험 투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을 인지하고 투자자 보호조치를 강화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국내 파생상품은 사전 교육과 모의거래 후 기본예탁금(1000만원)이 있어야 거래에 나설 수 있지만 해외파생상품은 증거금만 있으면 투자에 나설 수 있다. 다만 기본예탁금 제도만 수립할 경우, 규제가 없는 유럽이나 미국 등으로 투자자들이 우회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개인의 선택권을 제한하는 일률적 규제로 소비자 보호를 하는 게 맞는지에 대한 고민이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