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민 JLK 대표 “데이터·비대면 분야 매출 성장…흑자전환 기대”

by왕해나 기자
2021.03.16 17:02:24

AI 헬스케어, 연 50%씩 성장하는 유망 시장
AI허브, 37개 솔루션·48개 인허가 보유
헬로헬스, 헬로데이터 사업화 진행 중
건강보험 수가, 원격 의료 규제 해소 필요

[이데일리 왕해나 기자] “AI허브, 헬로헬스, 헬로데이터 세 가지 축을 기반으로 지난해 1800% 매출 성장을 이뤘다. 올해 데이터·비대면 서비스 분야가 확장하면서 흑자전환도 기대하고 있다. 유전체 분석 분야와 신약개발 분야는 사업화 초기 단계에 접어들 것 같다.”

의료 인공지능(AI) 전문기업 제이엘케이(322510)(JLK)의 김동민 대표는 16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목표에 대해서 이렇게 설명했다. JLK는 2019년 12월 기술특례상장으로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지 만 1년 만에 매출액이 20배 증가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진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데이터 3법을 통해 의료 데이터 활용 제한이 완화된 덕분이다.

김동민 JLK 대표.(사진=JLK)
시장조사기관 마켓스앤마켓스에 따르면 JLK가 영위하고 있는 AI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2018년 연평균 50%씩 성장해 2025년 362억 달러(약 43조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AI 헬스케어 시장 역시 연평균 45% 성장하면서 2023년 약 2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관측된다.

JLK는 △AI 의료 분석 솔루션 AI허브 △원격 AI 헬스케어 플랫폼 헬로헬스 △AI 토털 데이터 매니지먼트 플랫폼 헬로데이터를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 중 AI허브는 37개 솔루션을 가지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 총 48개 인허가를 보유하고 있다. 2019년에는 클린턴 재단 공개입찰에서 1위를 차지해 라오스 폐질환 검진사업에 납품하기도 했다.

김 대표는 “뇌를 62개 영역으로 나눠 피질의 두께라든지 질병 여부 등을 5분 안에 분석할 수 있어 의사들이 환자를 보는데 더 많은 시간을 쓸 수 있게끔 한다”면서 “이와 같은 작업을 의사들이 직접 한다면 하루 한 명의 환자도 보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AI허브를 이용, 코로나19 환자의 폐렴 진행 여부를 의사들보다 먼저 판독해낸 사례도 소개했다.



헬로헬스는 코로나19 시대에 각광받고 있는 원격 의료 솔루션의 일종이다. 단순히 의료진과의 영상통화만 가능한 미국의 1등 업체 ‘텔라닥’ 서비스와는 달리 환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AI 분석 결과를 의료진과 함께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JLK는 전 세계 의료 인프라와 의사가 부족한 국가에 헬로 헬스 플랫폼을 제공해 원격의료 시장에서 사업화가 진행 중이다. 김 대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의료기관만이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서비스에 제한이 있지만 규제가 풀리고 나면 개인들이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 결과를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동민 JLK 대표가 자사 AI 의료 분석 솔루션을 설명하고 있다.(사진=JLK)
JLK는 헬로데이터는 데이터 수집부터 가공, 분석을 진행하고 크라우드 소싱을 통한 데이터 수집과 다양한 가공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이다. 지난해 9월 한 달 동안 전년 동기 대비 2500% 이상 매출이 증가했고 데이터 시장에서 연이은 사업 수주에 성공하면서 올해도 본격적인 매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이후 사보험 기업과 보험수가 적용을 검토할 예정으로 멕시코, 싱가포르 등 해외 시장 진출도 타진 중이다.

JLK는 세 가지 플랫폼을 활용한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 대표는 “AI 기술이 진단 보조를 위한 솔루션에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플랫폼, 개인도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의료수가 지정, 비대면 의료 규제 등 넘어야할 산이 많다. 그는 “AI 의료기기 허가 건수는 늘어나고 있지만 건강보험 수가 적용이 된 경우는 한 건도 없다”면서 “더 많은 환자들이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수가 인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원격의료 역시 코로나19 상황에서 제한적이고 한시적으로 허용하고는 있지만, 코로나19 이후 64.3% 성장하는 미국 원격의료 시장에 비하면 보다 확실한 규제 해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 대표는 “글로벌 주요국은 코로나19를 계기로 원격의료 인프라 정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도 향후 상용화될 가능성이 크긴하지만 규제 샌드박스와 같이 새로운 서비스를 장려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