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北전역서 러 컨테이너 포착, 무기거래 활발…미사일 지원도"
by김관용 기자
2023.11.02 16:57:10
軍 "북러 정상회담 이전, 상당 수준 군사협력 합의"
"北 컨테이너 2000개 러시아로…152㎜ 포탄 100만발"
대가로 위성기술 지원 등…식량·유류 우선 받을 수도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와 북한이 군사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군은 북한이 러시아에 포탄 말고도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까지 제공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군 관계자는 2일 기자들과 만나 최근 북한과 러시아의 무기거래 정황 관련 보도에 대해 설명하면서 북한이 제공한 것으로 추정되는 무기·장비류로 △양국 간 호환이 가능한 122㎜ 방사포탄·152㎜ 포탄과 T계열 전차 포탄 △방사포·야포, 소총·기관총, 박격포 △휴대용 대공미사일·대전차미사일 △단거리 탄도미사일 등을 꼽았다.
특히 군 관계자는 “다양한 출처에 따르면 북한이 러시아에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지원한 정황이 있다”고 밝혔다. 운송 수단으로는 선박용 컨테이너 크기 등을 고려해 열차를 이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 러시아 선박이 북한에서 컨테이너를 싣고 운송하는 모습을 담은 위성사진 (출처=연합뉴스) |
|
이와 함께 군 당국은 현재까지 북한 나진항을 통해 선박으로 러시아로 보낸 컨테이너는 총 2000여 개로 추산했다. 컨테이너 크기는 20피트(ft), 즉 길이 6m, 폭 2.5m의 소형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여기에 122㎜ 방사포탄을 적재했다고 가정 시 20만 발 이상, 152㎜ 포탄으로 가정시에는 100만 발 이상의 물량이다. 소총탄의 경우 컨테이너 하나 당 40만발 가량을 실을 수 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지원했다는 정황은 작년 중순부터 식별되기 시작했는데, 김정은의 러시아 방문 직전인 올해 8월부터 북러 간 해상을 이용한 무기 거래가 보다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정황이 식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8월 이전에는 북러간 선박 운항이 매우 적었는데, 8월 말에서 9월까지는 주 1회 당 1척의 배가 오가더니 10월 이후로는 3∼4일 간격으로 서너 척이 오갈 정도로 운항 주기가 단축됐다는 것이다. 북한 컨테이너가 식별되는 장소는 전방과 나진, 평양 인근 등 북한 내륙을 포함한 전 지역이다.
이를 무기거래로 추정하는 이유는 과거와는 달리 북한 내륙 지역 열차 조차장이나 탄약시설 인근에서 러시아 물류회사 이름이 적힌 컨테이너들이 다수 발견되고 있어서다. 군 당국은 선박 뿐만 아니라 열차와 항공기 등을 동원한 무기거래 정황도 식별되고 있다고 전했다.
우리로서는 북한의 대러 무기 수출의 대가로 무엇을 챙기느냐가 더 큰 관심사다. 군은 북한이 무기지원에 대한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위성기술 지원 △핵 관련 기술이전 및 협력 △전투기 또는 관련부품 지원 △방공시스템 지원 △노획한 서방 무기 및 장비 등을 꼽았다. 앞서 국가정보원은 1일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이 두 차례 실패한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러시아가 돕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3차 발사)성공 확률이 높아질 가능성을 예측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9월 13일(현지시각)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로켓 조립 격납고를 둘러보며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뉴시스) |
|
북한은 지난 5월과 8월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실패한 이후 ‘10월 재발사’를 공언했다. 특히 지난달 러시아 아무르주 소재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열린 북러정상회담을 계기로 위성 관련 기술을 러시아로부터 이전 받기로 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군 관계자는 “우주 발사체가 아직 동창리 발사장으로 옮겨지는 등의 발사 임박 징후는 없지만, 발사 준비는 돼 있고 최근 (발사체) 엔진시험 등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면서 “발사 공언 시기를 넘긴 것은 러시아로부터 기술 자문을 받으며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우크라이나로부터 노획한 서방 무기와 장비를 러시아에 요구한 정황 관련해서는 “우리 무기가 서방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군의 기술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또 정권의 안정을 도모하고 올 겨울을 나기 위해 식량과 유류 등을 우선 지원받고 향후 군사기술 이전과 재래식 전력 현대화 지원, 연합훈련 등을 추가로 논의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