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값마저 '흔들'…12년만에 첫 하락 반전
by신수정 기자
2023.01.16 18:58:38
11월 전국 토지가격 전월대비 0.01% 하락
세종 -0.2로 가장 큰 하락폭…전북은 상승
"집값 커플링 현상…가격 하락 이어질 수도"
[이데일리 신수정 기자] 부동산 시장 침체 영향으로 땅값이 금융위기 이후 12년 만에 첫 하락 반전했다. 부동산 시장에서도 땅값은 시장 영향을 가장 뒤늦게 반영하기 때문에 하락세로 돌아섰다는 것은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깊어졌다는 의미다. 땅값 하락의 배경으로는 분양시장 찬바람에 택지개발 수요가 하락한데다 레고랜드발 유동성 위기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시장의 자금경색이 겹쳤기 때문이다.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 일원의 토지. (사진=연합뉴스) |
|
1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수도권을 시작으로 한 토지가격 하락이 전국 토지시장을 위축시키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 서울과 인천이 각각 0.09% 하락하며 전국토지가격은 전월대비 0.01% 하락했다.
지역별 토지가격 하락이 가장 거센 곳은 세종이다. 세종은 전월대비 0.2% 하락했고 뒤를 이어 대전과 제주가 0.1% 하락했다. 반면 전북 토지가격은 전월대비 0.11% 상승했고 강원(0.09%)과 경기(0.08%)가 땅값 상승에 힘을 보태며 전국 땅값 하락폭을 줄였다.
가격 하락과 함께 토지거래량도 쪼그라들었다. 전국 토지거래량은 10월 기준 14만3000건으로 15개월 연속 전년대비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2012년9월 이후 최저수준이다. 수도권 거래량은 5만1000건으로 전월대비 4.7% 감소했고 비수도권은 9만2000건으로 전월대비 2.3% 소폭 올랐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굳건했던 땅값이 흔들리는 이유는 주택시장 찬바람에 주택을 짓는 원재료인 토지에 대한 수요마저 감소했기 때문이다. 특히 택지개발을 통해 분양해 자금을 회수하는 선분양 아파트 시장 성격상 청약성적이 택지개발의 선행지표로 작용하는데 서울의 ‘둔촌주공(올림픽파크 포레온)’ 청약 성적마저 흔들리며 시장에 악영향을 미쳤고 미분양 주택 물량도 꾸준히 쌓이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1월 주택통계를 보면 전국 미분양주택은 지난달에만 1만810호(22.9%) 늘었다. 미분양이 한 달 새 1만호 이상 늘어난 것은 2015년12월(1만1788호) 이후 6년11개월 만이다. 11월까지 누적 미분양 주택은 수도권이 1만373호이고, 비수도권이 4만7654호였다.
꽁꽁 얼어붙은 부동산 시장 유동성도 땅값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특히 토지는 자기자본이 아닌 ‘브리지론’으로 대부분 조달하는데 브리지론에 대한 경고등도 켜지면서 금리가 연 30%까지 치솟는 등 자금 조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려워졌다. 이 때문에 토지 수요도 급감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주택시장 침체에 따라 토지시장도 동반 하락하는 모습이다”며 “금리 인상에 따른 영향으로 주택시장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토지 가격 역시 금리 인상 등 앞으로 금리 움직임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금리 인상 기조가 멈추기 전까지는 하락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