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0원 뚫은 환율…정부 "외환보유액 지금 쓰라고 있는 것…탄탄하다"(종합)

by원다연 기자
2022.09.28 17:47:44

불안 심리 확산→시장 악화 악순환 끊기 총력
순대외금융자산 증가, 금융기관 외화유동성 풍부
"환율 끌어올리는 주범은 국내 주체들, 밖에 있지 않다"
10년물 국채 금리 장중 4.4%대…5조원 시장 안정조치 나와

원·달러 환율이 장중 1,440원을 돌파한 28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원다연 이윤화 기자] 원·달러 환율이 장중 1440원을 넘어설 정도로 급등한 가운데 정부는 불안심리 확산 억제에 나섰다. 정부는 외환보유액 등 대외건전성은 탄탄하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는 환율 급등의 주범으로 내국인의 달러 투자를 지목했다.

김성욱 기재부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는 2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을 만나 “IMF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등을 겪으며 정부는 외환보유액을 최후의 보루로 늘려온 한편, 민간 자체의 대응능력을 키우기 위해 순대외금융자산 증가와 환오픈을 유도해왔다”며 “외환보유액과 외채 등의 지표뿐 아니라 이 같은 부분을 종합적으로 보고 건전성을 판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종가대비 18.4원 오른 1439.9원에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은 장중 최고 1440.1원까지 치솟았다. 장중 1440원 돌파는 2009년 3월 16일(고가 1488.0원)이후 13년 6개월만이다.

미국의 긴축 기조 강화에 따른 ‘킹달러’ 현상으로 연일 환율이 치솟으면서 각국의 ‘역환율 전쟁’이 펼쳐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불안 심리 확산이 다시 시장 상황 악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기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정부는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커진 상황에서 외환보유액이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다고 밝혔다. 8월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364억불 수준으로 작년말(4631억불)과 비교하면 6.1% 가량 줄었다. 김성욱 차관보는 “외환보유액은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쓰라고 있는 것”이라며 “시장 개입뿐 아니라 외환보유액에 유로화, 엔화 등도 비중이 30~40% 가량 되는데 달러 가치만 오르는 상황에 따라 이같은 통화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하락하면서 보유액이 줄어드는 부분도 상당하다”고 말했다.



외환보유액의 90% 이상이 유가증권이고, 예치금은 4% 수준에 불과해 대응여력이 떨어진다는 일각의 지적도 맞지 않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8월 기준 외환보유액 구성을 보면 유가증권이 90.5%, 예치금이 4.1%를 차지한다. 이외 SDR(특별인출권)이 3.3%, IMF 포지션이 1.1%다. 김 차관보는 “외환보유액은 정부가 갖고 있는 모든 외화자산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즉각 쓸 수 있는 가용성이 있는 돈만을 이야기한다”며 “예치금 형태가 아니라고 해서 묶여있다고 하는 건 맞지 않는 지적”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의 외환건전성도 양호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위기 상황에서 향후 30일간 예상되는 외화 순현금 유출액 대비 현금화가 쉬운 고유동성 외화자산의 비율을 나타내는 은행 외화 LCR은 8월 기준 123.7%다. 정부의 규제 수준인 80%를 크게 웃도는 것이다. 그는 “과거 위기를 겪으면서 외환보유액으로 정부가 방어하는 것에서 나아가 금융권이 최소 한 달은 스스로 방어할 수 있는 제도를 보완해온 만큼 이같은 지표들을 면밀히 살펴보고 어려운 상황이 오면 대응책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최근 환율이 급등하는 원인에 대해 지난달까지만 해도 역외 투기 세력을 지목했으나 이달 들어선 내국인의 달러 투자가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까지만 해도 비거주자의 역외 차액결제선물환(NDF) 순매입 규모가 60억 8000만 달러(잠정치)에 달했으나 이달 들어선 역외가 아니라 국내 주체들이 환율을 끌어올리고 있다는 평가다. 김 차관보는 “외환수급 상황을 시간대별로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이달 들어 환율 변동의 원인은 역외가 아닌 국내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수출입기업이나 국민들이 달러 투기를 하고 있다는 비난은 아니다”라며 “작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외환시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국내 주체들이지, 밖에 있는 주체들이 아니다”고 에둘러 말했다.

한편 이날은 외환시장 뿐 아니라 채권시장까지 격렬하게 반응했다. 영국발(發) 통화위기설, 러시아 가스관 누출에 더해 반토막 난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까지 각종 대외악재들이 한꺼번에 휘몰아친 영향이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장중 4%를 뚫고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5월 수준으로 회귀하자 국고채 10년물 금리 역시 장중 29bp(1bp=0.01%포인트) 급등하며 4.426%까지 찍었다. 급작스러운 국고채 시장 발작에 한은, 기획재정부가 각각 3조원 규모의 국고채 단순매입과 2조원 규모의 바이백(조기상환)을 발표하면서 총 5조원 규모의 시장 안정화 조치를 발표했다. 이에 10년물 국고채 금리는 이날 전일 대비 12.4bp 오른 4.332%에 마감하며 연 고점(4.548%)을 넘기지 않았다.

다만 이 같은 시장안정화 조치가 단기적 안정 효과에 그칠 수 있다는 평가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당국의 5조원 규모 안정화 조치로 다행히 채권시장의 숨통이 트이긴 했지만 내년까지 고강도 긴축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경기 침체 이슈까지 더해지면서 대외 악재에 따른 약세 방향성을 바꿀 순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