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평화는 힘에 의한 억지력" vs 이재명 "다 부서지고 이기면 뭐하나"

by이지은 기자
2022.02.25 21:12:56

중앙선거위원회 2차 TV토론, 남북관계 및 외교안보
尹 "우리 군사력 있었다면 6·25같은 참극 없었을 것"
李 "무력으로 억지해 전쟁을 이기는 건 하책"
安, 해군 대위 출신 강조 "자주·실용·평화 기반 전략"
沈 "지도자 실수 돌이킬 수 없어…국익 최우선"

[이데일리 이지은 김보겸 기자] 제20대 대선 후보들이 25일 열린 TV토론에서 남북관계 및 외교 안보 개편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밝혔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평화는 힘에 의한 상대 도발 억지력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정의했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다 부서지고 죽고 이기면 뭐하나”라며 평화를 강조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5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SBS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 초청 2차 법정 TV 토론회에 참석해 인사 나누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는 이날 오후 서울 SBS 상암 오디토리움에서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자토론회(초청2차)’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 후보와 윤 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심성정 정의당 후보가 참석했다.

이날 토론회의 두 번째 공통 질문은 ‘한반도 평화를 정착하고 통일을 이룰 방법과 강대국 이해관계 속 국익 도모 방안’이었다.

먼저 윤 후보는 “1950년대 북 침략에 대해 우리가 힘으로, 군사력으로 억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면 6·25 같은 참극을 겪지 않았을 것”이라며 “상대 비위를 맞추고 굴종하는 것으로 지속 가능한 평화가 얻어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근거로 제2차 세계대전 직전 맺어진 뮌헨협정을 예로 들며 “나치와 히틀러에 의해 어떻게 유린되는지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이어 “강력한 안보는 민생과 경제 번영의 기초가 된다”며 “북에 집착한 정부의 외교 기조는 미중북일 모두로부터 외면당해왔다. 원칙과 당당한 외교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5일 서울 상암동 S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2차 정치분야 방송토론회에서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왼쪽부터),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토론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다음 발언권을 얻은 이 후보는 “무력으로 억지해 전쟁을 이기는 건 하책이다”이라며 윤 후보에게 반박했다. 그는 우크라이나를 예로 들며 “중요한 건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고, 그보다 중요한 건 싸울 필요가 없게 만드는 평화”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반도국가, 즉 해양세력과 대양세력이 충돌하는 지점의 운명은 힘없고 지도자가 무능하면 양쪽에 휘둘려 쇠락한다는 것”이라며 “국력이 강하고 국익 중심의 실용적 외교를 통해 국가 살림을 잘 챙기는 유능한 리더가 있으면 융성해진다. 대한민국이 그런 상태”라고 설명했다.

또 “한번도를 안전하게 관리해야지 전쟁 위험을 재고시키면 절대 안 된다”며 마지막까지 윤 후보를 겨냥했다.

안 후보는 자신이 해군 대위 출신이라고 밝혔다. 그는 “저는 자주·실용·평화에 기반한 책임 외교 전략을 발표했다”며 “튼튼한 한미동맹을 중간에 놓고 다른 동맹국과 보편적 가치 및 규범에 입각해 우리 외교정책을 수행하는 원칙 가져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북한에 대해서는 대화는 진정성을 가지지만 북핵문제나 도발에 대해서는 단호해야 한다고 본다”며 “냉철한 국가적 이성을 갖고 대처하는 게 맞는데 현재 정부는 민족적인 감성에 의존하다 보니 국익에 훼손되는 일들 많이 했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심 후보는 “외교안보에서 지도자의 실수는 돌이킬 수 없다”면서 “특히 분단과 지정학적 위치를 볼 때 대통령의 외교안보 역량은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감정과 혐오 아닌 이성과 국제 규칙에 의거해서 국익을 최우선으로 두는 평화외교를 펼치겠다”며 “저는 외교를 국내 정치에 끌어들이는 포퓰리즘과 결별하고, 미국과 중국에 눈치보기 줄서기 외교를 탈피하겠다. 한반도 평화를 위한 외교 공간을 능동적으로 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