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복귀 기업 규모 커졌다…작년 1.1조원 투자계획 ‘역대최대’
by김형욱 기자
2023.01.05 19:01:21
산업부, 2022년 해외진출기업 국내복귀 동향
中 '제로코로나' 버티지 못한 기업 회귀 행렬
국내 공급망 안정화-고용확대 긍정 효과 기대
전문가 "일시적 현상…中경기 회복 땐 원상복귀"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해외에 진출했다가 국내로 복귀하는 기업의 투자규모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섰다. ‘제로 코로나’ 정책을 시행한 중국 등 외국 현지 경영여건 악화에 버티지 못한 기업의 본국 회귀 행렬이다. 그만큼 한국 기업의 해외 경영 환경이 나빠졌다는 것이지만 국내 산업 관점에선 공급망 안정화와 일부 고용 확대도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한해 국내복귀기업 현황을 집계한 결과 24개 해외진출 기업이 총 1조1089억원의 국내 투자 계획과 함께 국내 복귀를 신청했다고 5일 밝혔다. 1년 전과 비교해 기업 수는 2곳 줄었으나 투자계획 규모는 7724억원에서 43.6% 늘었다. 더 많은 중견·대기업이 중국 등지의 해외 사업장을 접고 국내 복귀 행렬에 동참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내수경기 활성화 차원에서 2014년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고 일정 요건을 갖춘 국내복귀 기업을 직·간접 지원해 왔다. 이후 복귀 기업의 투자계획이 연 수백억원 수준으로 미미했으나 2019년 3948억원으로 늘어난 이후 그 규모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지난해는 이 같은 양상이 더 두드러졌다. 24개 복귀기업 중 중견·대기업이 9곳으로 그 비중이 역대 최고인 37.5%에 이르렀다. 또 이중 6개 기업은 반도체 및 모바일용 PCB(S사)나 반도체용 화학제품(D사) 등 첨단 업종이나 공급망 핵심 기업이었다. 글로벌 공급망 위기 속 이들 기업의 복귀는 국내 산업 생태계의 공급망을 강화하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국내 고용 확대 효과도 일부 예상된다. 이들 기업은 총 1794명의 고용 계획을 밝혔다. 다만, 자본 자본 집약적 업종 기업이 주를 이루며 그 규모는 지난해 2280명에서 21.3% 줄었다.
낮은 인건비와 더 넓은 시장을 찾아 중국 등 신흥국으로 떠난 기업이 현지 인건비 증가와 코로나발 경기침체, 미·중 무역분쟁 등 현지 경영환경 악화를 버티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24개 복귀기업 중 63%에 이르는 15곳이 중국으로부터의 복귀였다. 그밖에 베트남이 4곳(17%), 미국·일본·대만·멕시코·인도네시아가 각 1곳(4%) 있었다.
전문가들은 다만 이 같은 흐름은 중국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일시적 증가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구기보 숭실대 글로벌통상학과 교수는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 (한국 기업을) 더는 견디기 어렵게 만들며 벌어진 일시적 현상으로 보인다”며 “현재는 중국 내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하며 더 어려운 시기이지만 확진자가 줄어들기 시작하고 중국 경기가 활성화하면 상황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수 산업연구원 해외산업실 선임연구위원도 “중국 진출기업 대비 국내 복귀 기업은 극히 미미한 수준이고 현지 경영환경 악화를 못 버틴 한계기업 위주로 이뤄져 있다”며 “지역 일자리 창출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 대응이 필요하지만 현 시점에서 전략적인 시사점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