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2차 유행 본격화..학교 2천여곳 휴업
by김기덕 기자
2015.06.08 19:59:41
전문가 "3차 감염 환자 추가로 나올 것"
76번 환자 추적 늦어서 4차 감염 우려도
[이데일리 김기덕·신하영 기자]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90명에 육박하면서 추가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경기도 평택지역을 시작으로 대전, 아산, 천안 등에 이어 서울에서도 확진환자가 잇따라 발생하자 2000여곳이 넘는 유치원과 초중고교가 휴업에 들어가는 등 전국이 메르스 공포에 떨고 있다.
메르스 사태의 최대 고비는 메르스가 보건당국의 통제를 벗어나 병원밖으로 빠져나가느냐다. 8일 추가로 확인된 23명 환자 가운데 삼성서울병원에서 17명의 추가 확진자가 무더기로 발생했다. 이로써 14번째 확진자로부터 3차 감염된 환자는 35번 삼성서울병원 의사를 포함 총 34명으로 늘었다. 16번 확진자로부터 감염된 환자도 대전지역으로 확산, 14명을 감염시켰다. 아직까지는 병원내 감염이지만 이들이 장거리를 이동하면서 병원밖에서 메르스 바이러스를 유포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14번 환자의 확진 일자는 지난달 29일이다. 메르스 잠복기가 최대 14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오는 12일까지 대량의 3차 감염이 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김홍빈 분당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난달 27~31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입원환자 중 다수의 양성반응이 나오고 있다”면서 “메르스 잠복기 기간을 고려하면 3차 감염 환자는 추가로 나올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보건당국은 아직까지 메르스 확산이 통제가능한 범주내에 있다는 판단이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열린 국회 긴급현안질문에 참석해 “(메르스 사태는) 8일이 가장 피크라고 생각한다”며 “내일이나 모레부터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감염병원은 6개 시도 29개 의료기관으로 확대됐다. 76번 확진자(75·여)가 거쳐갔던 서울 소재 건국대병원, 강동 경희대병원 내 밀접접촉 의심자는 386명에 달한다. 76번 확진자에 대한 추적이 늦어진 탓에 접촉자들에 의한 4차 감염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또한 경기 소재 새서울의원, 차민내과의원을 비롯해 전북, 부산 등에서 메르스 확진환자 경유 병원이 추가로 확인되면서 보건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장은 “현재 건국대병원, 강동 경희대병원에 역학조사관들이 나가서 방역체계를 구축하고, 메르스 의심자들을 격리한 상황”이라며 “다만 병원을 여러차례 옮긴 것은 본인의 의지에 따른 것이지, 각 병원에서 환자를 메르스로 거부한 것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고 잘라 말했다.
또한 메르스 확진 환자 중 첫 10대 환자(남·16세)가 나왔다. 그동안 보건당국은 10대 등 어린 연령대에서는 메르스에 전염될 가능성이 낮다고 설명해왔다. 보건당국은 환자와 접촉한 학생들이나 가족 등의 추가 감염을 의심하고 있다.
메르스 여파로 휴업하는 유치원·학교가 전국적으로 2000곳을 넘어서면서 교육과정 파행이 우려되고 있다.
현재 서울 강남지역 유치원과 초등학교는 오는 10일까지, 경기도 7개 시도의 유치원과 초중고교는 12일까지 휴업이 예정돼 있다. 지난주부터 휴업에 돌입한 학교도 있기 때문에 다음 주까지 휴업이 연장된다면 휴업기간 2주를 넘는 학교가 속출하게 된다.
현행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에 따르면 휴업기간은 연간 의무 수입일수(190일)의 ‘10분의 1’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최장 19일간 휴업할 수 있다는 의미다. 만약 이 기간을 넘게 되면 보충수업을 위해 방학을 줄일 수밖에 없게 된다.
이 때문에 학교 관계자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지난주부터 휴업에 들어간 서울 A초등학교 교장은 “우리 학교의 경우 정해진 수입일수가 194일”이라며 “휴업에 따라 결손이 발생한 수업일수를 194일에 맞춰 보충할 계획이지만 그럴 경우 방학기간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다음 주에도 메르스 사태가 진정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학부모들도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 학부모 김모씨는 “휴업으로 인해 여름방학이 축소되면 아이들은 불볕더위 속에서 공부를 해야 한다”며 “냉방을 원하는 만큼 못하는 학교가 많기 때문에 교육청이 나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