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스마트팜 첫 수출…우즈벡·카자흐서 420만달러 계약

by김형욱 기자
2019.03.19 15:55:30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민간 기업과 협업
설비·자재·종자 패키지 계약…기술지원도
추가 협의도…4월 1300만달러 성과 기대

임희택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총괄본부장이 19일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중앙아시아 수출에 성공한 ‘스마트팜 패키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한국형 스마트팜이 처음으로 수출됐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하 재단)은 이달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에 총 420만달러(약 47억원)어치의 스마트팜 설비와 농자재, 품종을 묶은 스마트팜 패키지 수출 계약을 맺었다고 19일 밝혔다. 추가 수출 계약 논의도 이어지고 있어 내달 중 1300만달러의 추가 성과도 예상된다.

재단은 농업 관련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이미 개발한 기술을 실용화하는 역할을 맡은 공공기관이다. 정부 농업·농촌연구기관 농촌진흥청(농진청) 산하기관이다.

재단은 지난해 5월 카자흐스탄 국립 과수원예연구소와 스마트팜 현지 테스트베드 사업을 추진하며 현지 시장 진출을 꾀했다.

이 결과 카자흐스탄 업체 누르샤테미르와 200만달러를 받고 현지에 2헥타르(㏊) 규모 오이·딸기 재배 시설을 지어주는 계약을 맺었다. 카자흐스탄 내 또 다른 기업 누르아그로와는 140만달러에 역시 1.6㏊ 규모 딸기·오이 재배 시설을 지어주기로 했다. 우즈베키스탄 업체 딜라보와는 80만달러에 딸기 재배시설 1㏊를 짓는 계약을 맺었다.

카자흐스탄 누르아그로와는 4월 중 1300만달러에 딸기재배 시설 추가 계약도 추진하고 있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제공
스마트팜이란 농작물 재배에 각종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농업인이 멀리에서도 재배 환경을 제어하거나 아예 스스로 최적의 재배 환경을 찾아 조절하는 기술이다. 농진청은 지금껏 스마트팜 기술을 개발해 국내 보급을 확대해 왔으나 해외에 수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민간 기업인 나레트랜드(대표 최승욱)와 제이엠농자재(대표 김재민)는 이번 계약에 따라 현지에서 스마트팜을 위한 원격 모니터링과 예측 제어 시스템, 시설 하우스 설계와 온실 공사를 맡게 된다. 두 업체 모두 스마트팜이 생소하던 2010년대 초부터 관련 연구를 이어온 끝에 해외 진출이라는 결실을 보게 됐다.

기술과 이에 필요한 설비, 시공뿐 아니라 현지에 맞는 국산 오이, 딸기 품종까지 함께 수출한다. 재단은 현지 인력의 스마트팜 운용 컨설팅까지 함께 지원할 계획이다.

재단은 또 이번 성과를 토대로 국산 스마트팜 패키지의 북방 지역 수출 확대를 모색한다. 올 7월엔 카자흐스탄 알마티 스마트팜 패키지 테스트베드 현장에 중앙아시아 및 러시아 관계자를 초청해 시연회를 열고 국내 기업과의 만남을 주선한다. 2020년에는 러시아에도 스마트팜 패키지 테스트베드를 추가로 운영키로 했다.

임희택 재단 총괄본부장은 “러시아를 비롯한 중앙아시아 시설재배 설비 시장은 네덜란드가 장악하고 있었으나 우리 스마트팜은 이와 비슷한 성능에 더 높은 가격 경쟁력이 있다”며 “우리 농업분야 수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카자흐스탄 현지에 조성된 한국형 스마트팜 시범포 내부 전경.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