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IT업계 근로시간 문제, 근본적인 개선 이뤄져야
by이재운 기자
2018.05.23 14:52:51
| 한국오라클노동조합이 지난 16일 오전 서울 강남구 아셈타워 앞에서 근로조건 개선 쟁의행위에 돌입, 1차 파업 집회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
[이데일리 이재운 기자] 7월부터 시작되는 ‘주당 근로시간 52시간’ 제한은 IT 기업에는 여전히 먼 이야기처럼 들린다. 지난 16일부터 파업을 시작한 한국오라클 노동조합에 따르면 유지보수 인력은 주당 110시간 가량 일을 하면서 임금 인상은 정체된 채 살아왔다.
앞서 ‘구로의 등대’로 불렸던 게임업체 넷마블이나 근로시간 제한 예외업종 신청 논란을 빚은 IT서비스 업계도 해결책을 요구받아 탄력근무제 등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런 와중에 외국계마저도 국내에서는 역시나 열악한 근무조건이 확인되면서 근로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이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으로 이어진다.
IT 인프라와 서비스는 24시간, 365일 끊김없이 이어져야 한다는 특성이 있다. 응급의료나 군사적 대비, 치안 유지처럼 사회적으로 특수한 성격을 띤다.
때문에 상상조차 어려운 수준의 야근과 철야 작업을 진행하는 ‘크런치 모드’는 단지 게임 업계뿐 아니라, 제한된 시간 내에 엄청난 작업을 감당해야 하는 IT 업계 전반의 문제다. 시스템 인프라 자체를 맡는 IT서비스 업계와 해킹 공격을 감시하고 피해 발생 시 복구하는 보안 관제 서비스 업계,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외국계 솔루션 업체에 이르기까지 마찬가지다.
이런 상태에서 당장 한 달여 뒤에는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다. 당장 근무시간 단축이 어려운 관련 업계 중견·중소기업들은 비상이다.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장을 맡은 이민수 한국통신인터넷기술 대표는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당장 국가적인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업체 입장에서 근로시간 준수 문제에 대응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고 어려움을 토로한 바 있다.
결국 문제해결을 위한 결론은 원청 사업자의 근본적인 태도 변화에 달렸다. 인건비에 대한 산정과 지급에 있어 자꾸 비용을 줄이겠다는 압박을 가하는 탓에 가장 핵심이 돼야 할 부분에서 이를 줄이기 위한 각종 꼼수가 등장하기 때문이다.
당장의 비용을 아끼려다 서비스 부실로 이어지고, 이는 결국 원청에게 추가 부담을 안겨주는 부메랑으로 돌아온다.
IT 업계 관계자들의 목소리는 명료하다.
소프트웨어와 서비스에 대해 소위 ‘제값받기’를 위한 재접근이 이뤄져야만 충분한 인력과 자원을 투입해 양질의 성과물을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풍토가 안 잡혀 있으니 자꾸 부실로 이어지고, 이를 다시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 혹사가 반복된다는 지적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IT에 값을 제대로 지불하는 사회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