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 제약강국 관제탑 기대

by류성 기자
2020.07.09 16:12:59

자본금 확보,정부 협회 100억 지원확정으로 순항
제약협회 추진 한국형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
제약주권 확립,글로벌 경쟁력제고 위해 설립
개별 제약사 힘든 산·학·연·병 협업,정부지원 확보

[이데일리 류성 기자]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이 올해 협회의 중점 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이 구체적인 윤곽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계가 공동 출자·개발을 기반으로 출범하는 최초의 컨소시엄이어서 벌써부터 관심이 집중된다. 원회장은 “코로나19와 같은 국가 전체를 뒤흔드는 전염병에 대한 백신 및 치료제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개발하는 데 있어 이 컨소시엄이 큰 역할을 할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한다.

현재까지는 이 컨소시엄의 성공적인 운영에 있어 양대 축이 될 제약업계와 정부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어 순항이 예고된다. 실제 이 컨소시엄 가동을 위한 재원 마련도 착착 진행되고 있다. 협회의 13개 이사장사는 각각 2억원씩 출연을 완료했고, 34개 이사사도 1억원씩 자금을 보탤 예정이다.

협회 관계자는 “이달 중순까지는 당초 계획했던 설립자본금 70억원 확보는 차질없이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협회는 내년부터 최소 4년간은 이사장사 및 이사사들이 현물로 출자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이달 초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 지원자금으로 100억원을 책정하고 한국제약바이오협회를 통해 집행이 이뤄지도록 확정하면서 힘을 실어주고 있다. 협회는 이 자금을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을 통해 집행할 예정이다.

이 지원자금은 민관 매칭펀드 방식으로 진행되기에 제약업계에서도 정부 지원자금과 동일한 100억원을 투자해야 한다. 이번에 정부에서 민관 매칭펀드로 100억원을 지원키로 한 것은 컨소시엄의 본격적인 운영을 앞두고 의미가 크다는 게 협회측의 설명이다.



제약업계도 이 컨소시엄의 역할에서 가장 관심을 보이는 부분은 민간 기업이 주도적으로 투자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제약바이오산업 특화형 민관합동형 파트너십(PPP)이다. 제약사로서는 정부 프로젝트에 선정되면 투자한 금액 만큼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을수 있어 실질적인 혜택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은 협회 회원사를 중심으로 하는 국내 제약업계와 정부의 긴밀하고 유기적인 민·관 협업, 산·학·연·병 협업, 글로벌 협업, 금융·IT를 비롯한 타 산업부문과의 협업을 주도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업계는 이 컨소시엄이 향후 국내 제약산업을 대표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한다.

원회장은 “개별 제약·바이오기업 혼자서는 추진하기 어려운 감염병 치료제·백신 및 혁신의약품 개발이나 글로벌 진출 등 사업을 한국형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플랫폼을 통해 실현하고자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의 설립을 구상했다”며 배경을 설명했다. 협회는 유럽의 혁신의약품 이니셔티브(IMI), 호라이즌 2020, 일본의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 등을 벤치마킹하면서 이 컨소시엄에 대한 기틀을 잡았다.

여기에 이 컨소시엄은 신약의 상업화 단계에서 제약사에 대한 개발비 손실보전, 인프라 확충지원, 안정적인 공급물량 확보(정부비축, 정부 공적 조달 등) 등 정책적 지원을 사전에 정부와 조율해 확정하는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어서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민·관 공동 투자를 통해 개발이 시급한 취약 질환의 연구개발(R&D) 생태계를 조성하고, 백신·치료제 개발 등 성과 도출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최대한 앞당긴다는 게 이 컨소시엄의 복안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건물 전경.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