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케미칼, ‘코폴리에스터 사업 호조’에도 수익성은 주춤

by박순엽 기자
2022.08.08 17:36:05

2분기 별도 기준 영업익 205억원…전년비 8.3%↓
코폴리에스터 사업에선 매출액·영업익 모두 증가
제약 사업 영업익 10%↓…“목표 달성 위해 노력”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SK케미칼이 올해 2분기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코폴리에스터’ 사업의 호조로 외형을 키웠지만, 원자잿값 인상과 운임 상승 등 여파에 수익성 면에선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SK케미칼(285130)은 올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8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했다고 8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7.6% 증가한 5013억원, 당기순이익은 13% 줄어든 603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

이는 핵심 자회사인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등의 실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는 올 2분기 매출액 1383억원·영업이익 612억원을 거뒀다.

이들을 제외한 SK케미칼의 올 2분기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20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3.9% 증가한 3257억원, 당기순이익은 50.6% 늘어난 141억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



별도 기준, 단위=억원, 자료=SK케미칼
SK케미칼은 원자재 가격 상승, 글로벌 물류대란 등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코폴리에스터 증설에 따른 판매량 확대와 신규 용도 개발, 고객 확대 전략으로 외형 성장을 끌어냈다고 설명했다.

코폴리에스터 사업 부문의 올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2182억원과 26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6%, 41% 증가했다. 이는 신규 코폴리에스터 라인을 100% 가동하면서 고부가 포트폴리오 제품 판매 전략이 들어맞았다는 게 SK케미칼 측 설명이다.

다만, 제약(Pharma) 사업을 담당하는 라이프 사이언스 부문은 매출액으로 772억원, 영업이익으로 79억원을 거뒀다. 올 2분기 판관비가 상승하는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 영업이익은 10% 각각 감소했다.

SK케미칼 관계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인플레이션 등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코폴리에스터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량 확대와 제약 제품 라인업 확대로 목표 달성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