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크 인 인디아'-'제조업 3.0' 접목..한·인도 경협 강화

by이준기 기자
2015.05.18 19:00:27

한·인도 CEPA 개선협상 내년 6월전 개시
양국,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

[이데일리 이준기 기자] 한국과 인도가 제조업 분야 협력을 강화하고자 손을 맞잡는다. 우리나라의 ‘제조업 3.0’ 전략과 인도가 추진 중인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정책을 연계해 양국의 제조업을 새로운 성장 엔진으로 키우겠다는 복안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18일 청와대에서 우리나라를 국빈방문 중인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이런 내용을 담은 경제협력 방안에 합의했다. 양 정상은 이번 회담을 계기로 경제분야에서만 모두 7건의 협정 및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메이크 인 인디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15%인 인도의 제조업 비중을 2022년까지 25%로 끌어올려 인도를 세계 제조업의 허브로 만들겠다는 모디 총리의 정책이다. 박 대통령도 2017년까지 24조원의 스마트 혁신 투자를 통한 1만개의 스마트 공장 보급·확산과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한 사물인터넷(IoT), 입체(3D) 프린팅 등 신산업 창출 등을 꾀하는 ‘제조업 혁신 3.0’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양국은 먼저 조선분야 협력을 위해 양국 민관공동작업반을 설치하고 인도 가스공사(GAIL)가 발주하는 9척(1척당 2억달러, 18억달러)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사업에 우리 기업의 참여를 추진키로 했다.

우리 기업이 2450억달러(한화 약 266조원) 규모의 인도 대규모 인프라 사업에 참여하는 길도 텄다. 인도는 현재 100개 스마트시티(150억달러)와 델리-뭄바이 산업회랑(약 900억달러), 철도·고속철 인프라 구축(향후 5년간 1400억달러), 갠지스강 정화(지난해부터 3억 3000만달러 투자 중) 등 각종 대형 인프라 사업을 벌이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수출입은행은 우리 기업의 진출을 측면 지원하고자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10억달러, 수출금융 90억달러 등 모두 100억 달러 규모의 금융패키지에 합의했다.



또 타국보다 상대적으로 불리하다고 평가받는 CEPA 개선협상도 내년 6월 전에 열린다. 2010년 1월 발효된 한·인도 CEPA는 인도의 양허수준이 85%(품목수·수입액 기준)에 불과하고 관세 미철폐 품목도 13.8%(아세안 약 10%, 타FTA 1% 미만)에 달해 2011년 8월 발효된 일·인도 CEPA에 비해 수출 분야에서 우리가 상대적으로 불리한 여건이다.

아울러 문화와 정보기술(IT) 등 소프트웨어 분야에서의 양국 간 협력도 강화한다. 먼저 한·인도 시청각 공동제작협정을 통해 83억달러(약 9조원)에 달하는 인도의 영상물 제작시장에 우리 기업이 진출하는 계기가 마련한 것이다. 인도의 스프트웨어 기술과 한국의 하드웨어 기술을 공유, IT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공동실무그룹 구성도 협의 중이다.

양국은 지난해 1월 박 대통령이 인도 방문 계기에 제의한 한·인도 최고경영자(CEO) 포럼을 19일 서울에서 열고, 1:1 비즈니스 상담회도 개최하기로 했다. 양국의 교육·투자 활성화를 위한 기업 간 본격적인 교류의 시작을 알리는 셈이다.

양 정상은 이번 회담을 계기로 양국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서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키로 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한·인도 확대 정상회의에서 “새롭게 격상된 양국 관계에 걸맞게 그간 양국이 중점적으로 협력해온 경제 관계는 물론이고 정치, 안보 분야의 협력 증진에도 함께 노력해나갔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