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정두리 기자
2020.07.27 16:21:46
최근 1년 아파트값 상승률 1500가구 이상 14.6%
300가구 미만은 5.9%로 8% 이상 격차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1000가구 이상의 대단지 아파트가 올해 주택시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단지 규모가 클수록 아파트 매매가격의 상승폭이 컸고, 대단지와 소형단지의 상승률 격차는 최대 8.7%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아파트 시세자료를 토대로 지난해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500가구 이상 단지가 평균 14.6%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뒤를 이어 △1000가구 이상 1500가구 미만 9.9% △700가구 이상 1000가구 미만 9.1% △500가구 이상 700가구 미만 8.6% △300가구 이상 500미만 6.8% △300가구 미만 5.9%의 상승률을 보였다.
권역을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과 지방으로 나눠도 결과는 동일했다. 최근 1년간 300가구 미만의 수도권 아파트는 평균 7.7%의 상승률을 기록한 반면 1000가구 이상 1500가구 미만은 11.5%, 1500가구 이상은 15.9%를 기록해 격차가 8.2%까지 벌어졌다. 지방 아파트 상승률도 300가구 미만은 1.4%인데 반해 1000가구 이상 1,00가구 미만은 5.6%, 1,500가구 이상은 8.3%로 최대 6.9%의 차이를 보였다.
대단지 효과는 새 아파트 분양권 프리미엄에서도 확인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2018년 7월 서울 서대문구서 분양한 ‘힐스테이트 신촌(1226가구)’ 전용면적 84㎡가 이달 14억9700만원(14층)에 거래됐는데 이는 분양가(8억9900만원) 대비 6억원 가량 상승한 금액이다. 올해 2월 경기 수원 팔달구에서 분양한 ‘매교역 푸르지오 SK VIEW’(3603가구)도 전용면적 84㎡가 8억6740만원(8층)에 거래돼 초기 분양가(6억5200만원) 대비 3억원 이상의 웃돈이 붙었다.
지방도 마찬가지다. 2017년 10월 부산 수영구 광안동에 공급된 ‘광안자이(971가구)’는 전용면적 84㎡ 기준 분양가 5억5360만원에서 이달 10억3000만원(20층)에 거래돼 5억원 가량의 프리미엄이 형성됐다. 반면 같은 광안동에서 2018년 11월에 공급된 ‘광안 에일린의뜰(225가구)’은 전용면적 84㎡가 7억8580만원에 팔려 분양가(5억6920만원) 대비 2억원 가량 상승했다. 입지여건과 초기 분양가격이 비슷함에도 프리미엄이 3억원 가량 차이를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