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물난리 났던 만해 한용운 집'…장마 오는데 1년째 방치중
by김대연 기자
2021.06.22 16:01:48
서울 성북동 한용운 유택 심우장, 작년 침수 피해
심우장 관리인 "배수시설 안 고치고 1년 동안 방치"
서울시 '이달의 문화재' 지정에도 관리 소홀 지적
성북동 일대 주민들도 장마 피해 반복될까 불안
[이데일리 김대연 기자] 독립운동가 겸 승려·시인인 만해 한용운(1879~1944년) 선생의 유택 ‘심우장(尋牛莊)’이 올해도 침수 위기에 처했다. 작년 장마철에 배수시설 미비로 물난리를 겪었지만, 지자체 등 관계당국이 1년 가까이 아무런 조처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야외에 노출된 문화재일수록 장마철 관리에 더 유념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 2020년 8월 장마철에 서울 성북구 성북동 만해 한용운 선생의 유택 ‘심우장’ 마당이 침수된 모습과, 장마철을 앞둔 심우장의 현재 모습.(사진=김대연 기자, 독자 제공) |
|
22일 이데일리 취재를 종합하면 만해 선생의 유택 심우장은 장마가 길어지던 지난해 8월 마당 전체가 물에 잠겨 곤욕을 치른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배수로가 막히면서 물이 빠지지 않은 탓이다. 하지만 침수 이후 계속된 보수 요구에도 서울시·성북구청 등 지자체가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아 배수로가 1년 전 그대로 방치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심우장은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한용운 선생이 지은 집으로 남향을 선호하는 한옥에서 흔히 볼 수 없는 북향이다. 남향으로 터를 잡으면 조선총독부와 마주 보게 돼 그쪽을 등지고 반대편 산비탈의 북향터를 선택한 것으로 유명하다.
심우장은 지난 2019년 4월 8일 사적 제550호로 승격됐고, 지난 4월에는 ‘서울시 이달의 문화재’로 선정되기도 한 중요 문화재다. 코로나19 이전엔 하루 평균 수백명이, 이후에는 30~40명씩 찾았다. 하지만 침수 사고 발생 1년 가까이 체계적인 관리가 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심우장은 서울시 기념물에서 사적으로 승격된 해 한 차례 문화재청의 정기조사를 받았다. 당시 조사에서 문화재청은 심우장의 배수시설에 대해 ‘해당사항 없음’, 즉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 하지만 이듬해 바로 물난리를 겪었음에도 올해는 조사 대상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심우장 문화재관리원 이모(66)씨는 “침수 이후 성북구청에 배수로를 뚫어달라고 요청했지만 달라진 게 없다”며 “장마가 코앞인데 (배수로가) 작년보다 올해 더 막힐 것 같아 큰일”이라며 고충을 토로했다. 이씨는 “코로나19에도 사람들이 문화재를 보러 꾸준히 왔다”며 “올 장마철에도 마당이 호수가 돼 방문객이 들어오지 못할까 걱정”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성북구청 관계자는 “지난해에는 동사무소에서 양수기를 빌려서 마당의 물을 빼는 등 응급처치를 했다”며 “배수로 교체와 관련해 구체적인 계획은 없으며 아직 고장 원인을 파악 중”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야외 환경에 조성된 문화재는 장마철에 손상을 입기 쉬워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의 의견이다. 이젬마 경남대 문화유산복원예술학과 교수는 “홍수나 집중호우를 대비해 물이 빠져나가는 배수로를 미리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며 “강풍에 폐자재 등이 날아가 2차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니 담장이나 성벽에 균열·파손이 있는지 미리 점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서울 성북구 성북동 주택가 축대에 균열이 갔다. (사진=김대연 기자) |
|
심우장뿐만 아니라 성북동 일대가 다가오는 장마에 두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지난해 유난히 길었던 장마에 성북동 곳곳에서는 건물 축대가 무너지고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지자체 차원의 보수가 이뤄졌지만 현재 여전히 곳곳에서 균열이 포착돼 주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지난해 8월 옆집의 축대 붕괴사고에 지붕과 벽이 무너져 가족과 함께 두 달 동안 게스트하우스에 살았다는 대학생 김모씨는 “(사고 당시 기억이) 어제 일처럼 생생하다”며 “작년 말쯤 보수공사가 끝났지만 여전히 트라우마로 남아 있다”며 불안함을 내비쳤다.
축대가 붕괴돼 하루 아침에 집을 잃은 백모(58)씨도 “성북동에는 오래된 집들이 많아서 항상 두려움을 안고 산다”며 “구청이나 지자체 관계자들이 살펴주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신병윤 동의대 건축학과 교수는 “축대 빈틈으로 빗물이 들어가면 균열이 커지면서 집이 무너질 확률이 높아진다”면서 “주변에 빈집이 많더라도 지자체에서 자주 현장을 점검하고 위험 지역은 주민의 접근을 차단시키는 게 사고를 대비하는 방법”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