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그룹, 1분기 영업익 830억…전년비 1.7% 증가
by신수정 기자
2024.04.29 18:06:13
아모레퍼시픽, 국내이익 개선·서구권 시장 성장
중화권 매출 감소했지만 유럽·중동 시장 큰 폭 개선
[이데일리 신수정 기자] 아모레퍼시픽(090430)그룹이 올 1분기 1조 68억원의 매출과 83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기간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영업이익은 1.7% 증가했다.
| 아모레퍼시픽그룹 1분기 실적. (자료= 아모레퍼시픽그룹) |
|
아모레퍼시픽(090430)은 전년 수준의 매출에도 국내 이익 개선과 서구권 시장에서의 높은 성장세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2.9%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회사측은 “국내 사업의 경우 설화수, 헤라, 라네즈, 에스트라, 한율, 일리윤 등이 고객 트렌드에 맞춘 신제품 출시와 함께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하며 매출이 늘었다”며 “국내 영업이익은 화장품 부문의 이익 개선과 면세 채널의 두자릿수 매출 성장에 힘입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해외시장은 중화권 매출 감소로 전체 매출은 소폭 하락했지만, 미주와 EMEA(유럽, 중동 등) 중심의 서구권 시장에서 큰 폭으로 성장했다.
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의 국내 사업은 화장품 부문의 성장으로 전년대비 2.1% 증가한 5636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화장품 부문의 영업이익이 개선되고 면세 채널 매출이 두자릿수 성장하며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27.8% 증가했다.
국내 생활용품의 경우 프리미엄 카테고리 매출 비중이 확대되며 성장의 기반을 마련했지만 마케팅 비용 증가로 전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브랜드 중에서는 설화수, 헤라, 라네즈, 에스트라, 한율, 일리윤, 라보에이치 등이 MBS와 국내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선전했다. 설화수는 ‘진설’ 제품군의 확대및 ‘윤조 립밤’ 등 혁신 신제품의 출시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했다.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사업은 아시아 매출 감소로 전년대비 2.4% 감소한 336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나, 서구권 시장에서 수익성을 확보하며 전년 수준의 영업이익을 유지했다. 특히 서구권에서는 설화수, 라네즈, 이니스프리 등 주요 브랜드의 견고한 성장세가 지속되며 미주에서 40%, EMEA에서 52%의 매출이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EMEA에서는 립 카테고리와 핵심 스킨케어 매출이 2배나 증가한 라네즈가 전체 매출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 이니스프리도 영국의 멀티 뷰티 스토어 ‘Space NK’에 새롭게 입점하고 프랑스와 이탈리아 등 유럽 주요 국가의 세포라 채널에서 리브랜딩 캠페인을 전개하며 인지도를 높였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 아모레퍼시픽 1분기 실적.(자료= 아모레퍼시픽그룹) |
|
주요 자회사들은 전반적으로 매출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니스프리는 국내 오프라인 로드숍 축소 등으로 인해 전체 매출과 영업이익이 하락했다. 그런 가운데도 MBS 채널 확대로 젊은 고객층 유입이 증가하며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에뛰드는 MBS를 비롯해 에이블리, 무신사 등 신성장 온라인 플랫폼에서 선전하며 전체 매출이 증가했다. ‘에뛰드 마이 베스트 톤 아이 팔레트’ 등 신제품 출시로 메이크업 카테고리의 리더십도 확대했다.
에스쁘아는 립 신제품 ‘노웨어 바밍 글로우’가 올리브영 립 카테고리 1위에 오르는 등 MBS와 e커머스 채널을 중심으로 매출이 성장했다. 앰버서더 윈터와 함께한 봄 메이크업 캠페인 등 브랜드 매력 강화에도 매진했다.
오설록은 매장 방문 고객의 증가와 함께 ‘아마존’ 등 글로벌 플랫폼 수요 확대로 전체 매출이 성장했다. ‘바닐라 허니 블랙티’ 등 고객 트렌드에 대응하는 신제품을 통해 브랜드의 경쟁력도 제고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그로우 투게더’(Grow Together)라는 경영방침에 따라 △브랜드 가치 제고 △글로벌 리밸런싱 △고객 중심 경영 등의 경영전략을 추진중이다.
회사측은 “각 브랜드의 핵심 가치를 분명하게 하는 브랜드 코어 강화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며 “고객 공감 콘텐츠 개발뿐만 아니라 상품 강화를 통해 더 높은 브랜드 가치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을 중심으로 해외사업 지형도 재편할 것”이라며 “새롭게 설정한 집중 성장 지역을 중심으로 유통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다양한 사업 모델을 시도해 지속적인 글로벌 성장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