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도년 기자
2016.08.11 16:28:18
신평사·증권사, 2016년 유가 전망치 내리고 신규 수주 예상액 100억불도 안돼
"시장은 비관적인데…연 110~120억불 수주 전망은 지나친 낙관주의"
'비관적 수사 넘쳤지만'…증권업계, 대우조선 현금부족 예상 못하기도
[이데일리 김도년 기자] 삼정KPMG의 대우조선해양(042660) 실사보고서에서 나타난 핵심적인 쟁점 중 하나가 왜 금융당국이 ‘장밋빛 수주 전망’에 근거한 실사 결과를 기초로 기업 구조조정 정책을 수립했느냐다. 금융당국은 조선업계가 수주절벽을 겪고 있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를 재단해서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지만 당시 국제유가나 자본시장이 예상하는 수주 전망을 놓고 볼 때 과도하게 낙관적이었다는 지적도 있다.
삼정KPMG는 실사보고서를 작성할 당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연 110억~120억달러 규모의 신규 수주가 들어올 것으로 가정하고 미래 영업실적을 추정했다. 대우조선은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10억2000만달러 규모의 신규 수주 실적을 보인 것에 비하면 결과적으로는 과도한 추정이었다. 실제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대우조선 유동성 지원방안이 나오기 전인 작년 10월 국제유가 추정치를 하향 조정했다. 무디스는 2016년 브렌트유 가격을 기존 배럴당 57달러에서 53달러로,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52달러에서 48달러로 하향 조정하고 기존 2017년 전망치에서는 5~7달러 정도씩 추정치를 하향 조정했다. 대규모 재고와 과잉 공급으로 인해 저유가가 더 오래 유지될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유가는 조선업계 수주 환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다. 조선사는 크게 상선과 해양플랜트, 특수선 등으로 매출이 구성되는데 특히 원유 시추 설비 등을 제작하는 해양플랜트는 국제 유가 변동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다. 유가가 낮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되면 발주처는 원유를 생산해도 수지가 맞지 않아 조선사에 해양플랜트 발주를 미루거나 기존의 해양플랜트 설비마저 하자나 설계변경 등을 이유로 인도일을 늦추려는 유인이 작용한다. 유가가 손익분기점 수준까지 내려오는 상황이 길어질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에서 매년 110억~120억달러의 신규 수주 전망은 다소 과도하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