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이어 게이단렌까지…尹, 한일 관계 개선 박차(종합)
by박태진 기자
2022.07.04 18:47:49
尹대통령, 3년만에 게이단렌 대표단 접견
"‘미래지향’ ‘파트너’로 연결"…경제 교류에 힘 실어
양국 기업인들 협력 확대·발전 의지 확인
한일관계 훈풍에 하반기 한일 정상회담설도 ‘솔솔’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한일 관계 개선 작업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일까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할 당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를 다섯 차례나 만나며 한일 관계 복원 의지를 강조한데 이어 4일 일본 게이단렌(경제단체연합회) 대표단을 만나며 한일 경제 교류에 힘을 실어줬기 때문이다. 최근 김포-하네다 공항 간 하늘길도 다시 열리면서 양국 간 재계 교류는 더욱 무르익는 분위기다.
|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일본의 기업인 단체 게이단렌(경제단체연합회) 대표단을 접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게이단렌 대표단을 접견하며, 한일 재계회의 결과와 양국 간 경제 및 인적교류 확대를 비롯한 실질 협력 증진에 대해 논의했다.
한국 대표로는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회장, 권택신 상근부회장, 김봉만 국제본부장 등 전경련 관계자들이 참석했고, 게이단렌 측에서는 도쿠라 마사카즈 회장, 사토 야스히로 부회장, 야스나카 타츠호 부회장, 히가시하라 토시아키 부회장, 구보타 마사카즈 사무총장이 함께 했다.
대통령실에서는 김성한 국가안보실장과 최상목 경제수석, 김태효 국가안보실1차장, 김일범 의전비서관, 강경성 산업비서관, 이문희 외교비서관이 참석했다.
한일 재계회의는 매년 정례적으로 해왔으나, 지난 3년간은 코로나19 등의 여파로 인해 교류가 잠정 중단됐다. 이번 일정은 양국 단체는 물론 대통령실도 사전에 약속된 일정이었다.
나토 순방에 따른 후속 조치 차원은 아니지만, 한일 양국이 미래지향적으로 관계 개선을 해나가는 데 있어 주춧돌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윤 대통령뿐만 아니라 양국 경제인들도 한일 관계 개선과 경제협력의 확대·발전을 위해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확인하는 자리였기 때문이다.
외교가에서는 한일관계 정상화를 추진하는 윤석열 정부 입장에서도 한일 재계회의가 3년만에 재개된 것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일관계가 악화돼 있던 기간과 한일 재계회의가 중단된 기간이 우연찮게 일치하면서 돌파구 마련에도 애를 먹었기 때문이다. 한일 정상이 만나 서로 덕담을 나누는 등 관계에 훈풍이 불고 있는 시점에 이같은 행사가 재개됨으로써 양국 관계 정상화에 더욱 속도가 날 수 있다는 전망이다.
특히 이날 윤 대통령이 ‘미래지향적’이란 단어를 언급하며 ‘파트너’를 강조한 부분은 나토 순방 당시 기시다 총리와 나눈 대화 내용과도 맞닿아 있다는 분석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28일(이하 현지시간) 밤 스페인 국왕인 펠리페 6세가 주최한 나토 정상회의 환영 갈라 만찬에서 기시다 총리를 처음 만나 대화를 나눴다. 당시 윤 대통령은 “나와 참모들은 참의원 선거가 끝난 뒤 한일 간 현안을 조속히 해결해 미래지향적으로 나아갈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기시다 총리는 “윤 대통령이 한일관계를 위해 노력해 주시는 것을 알고 있다. 한일관계가 더 건강한 관계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화답했다.
윤 대통령은 또 지난달 29일 나토 정상회의에 앞서 도어스테핑(약식회견)을 통해 기시다 총리의 첫인상을 묻는 질문에 “한일 현안을 풀어가고 양국 미래의 공동 이익을 위해 양국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그런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저는 확신하게 됐다”고 언급한 바 있다.
두 정상은 이번 나토 정상회의를 계기로 총 5차례(국왕 만찬·아시아태평양 4개국 회동·한미일 정상회담·아태 4개국 사진촬영·나토 정상회의) 만나 친분을 쌓으며 한일 관계 복원 기대감을 높였다.
이로 인해 이달 10일 진행되는 일본의 참의원 선거에서 기시다 내각이 승리할 경우 하반기 중 한일 정상회담 가능성도 제기된다.
최은미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상황에서 한일 정상회담의 연내 개최를 예측하기에는 이른감이 있다”면서도 “(강제징용 피해 보상과 관련해) 피해자들의 동의를 얻을 수 있느냐에 따라서 (정상회담)진행 속도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