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아號 카카오, 첫 성적표 '맑음'…"AI 일상화·대중화 속도낸다"
by한광범 기자
2024.05.09 16:04:57
매출 22%·영업익 92%↑…실적 부진서 벗어나
'사업 근간' 카톡 사용자, 4870만…증가세 지속
AI 역량 총집결…AI 플레이그라운드 마련 예정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카카오(035720)가 정신아 대표이사 취임 이후 첫 실적 발표에서 무난한 성적을 기록했다. 카카오는 올해 플랫폼과 콘텐츠 부문의 균형있는 성장을 통해 두자릿 수 이상의 매출 성장률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9일 카카오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22% 증가한 1조988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2% 급증한 1203억원이었다. 지난해 이어진 실적 부진을 만회하는 모습이다. 여러 사업 부문이 골고루 성장한 가운데 카카오 사업의 핵심인 카카오톡의 실사용자(MAU)도 꾸준히 늘고 있다.
카카오의 사업은 크게 △플랫폼 부문과 △콘텐츠 부문으로 구분된다. 플랫폼의 호실적은 카카오톡을 활용한 광고·커머스 사업인 톡비즈와 모빌리티·페이 등 플랫폼 기타 사업이 이끌었다. 콘텐츠 부문은 SM엔터테인먼트 인수 효과에 더해 영상제작·매니지먼트 사업에서의 높은 성장세가 전체 매출 증대를 이끌었다.
영업이익 개선은 카카오 본사의 광고 사업 호조의 영향이 컸다. 카카오 본사 영업이익은 137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정 대표는 “카카오톡 개편을 통해 상호작용이 확장돼 이용자 트래픽이 증가했고 새로운 서비스 지면 확보로 이어지면서 디스플레이 광고가 시장을 상회하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톡도 이용자를 꾸준히 늘리며 카카오의 다양한 사업 기반으로서의 역할을 공고히 하고 있다. 올해 1분기 카카오톡 MAU는 4870만명으로 전분기 대비 24만명이 늘었다. 정 대표는 “관계 속에서 주고받는 종류도 메시지, 선물, 송금을 넘어 신규 아이템으로 확대해 카톡 본질에 집중한 성장성 강화를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사내 AI 역량 집결을 위해 카카오브레인의 AI 조직을 카카오 본사로 이전·통합한 카카오는 올해 본격적으로 AI 서비스 개발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에 AI 접목을 확대해 AI의 일상화·대중화를 앞당긴다는 구상이다.
| 2024년 1분기 카카오 실적 요약. (자료=카카오) |
|
정 대표도 경쟁업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진 카카오의 AI 역량을 인정하며 빠른 AI 서비스 출시를 자신했다. 그는 “AI 연구개발 조직과 이를 사업화할 서비스 조직 간의 속도감 있고 밀접한 협업을 통해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AI 관련 서비스를 가시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AI 조직 통합 배경과 관련해 “사업 속도를 높이기 위해 AI 모델에 집중하던 카카오브레인과 AI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 카카오 사이의 장벽을 없앨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영업양수를 통해 카카오는 경량화된 모델인 sLLM(소형언어모델)에서 LLM(거대언어모델)까지 생성형 AI 모델을 모두 확보하게 됐다”며 “실제 카카오 서비스의 수요가 있는 방향으로 언어모델의 연구개발을 강화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시장의 눈높이와 효율적인 자본 배분을 고려해 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AI 모델을 서비스에 접목하겠다는 계획이다. 내부 AI 모델은 물론 필요에 따라선 외부 모델까지 사용해 서비스에 맞는 비용 최적화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핵심 서비스인 카카오톡에도 다양한 AI를 접목할 예정이다.
정 대표는 “카톡이 독보적인 사용자 경험을 가지고 있는 만큼 언어모델이 채팅 형태의 서비스로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에 큰 강점이 있다”며 “채팅 맥락에 적합한 AI 기반 콘텐츠 구독이나 상담 형태의 서비스들을 준비 중에 있다”고 밝혔다.
그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AI 서비스를 쉽게 발견하고 마음껏 테스트할 수 있는 ‘AI 플레이그라운드’를 마련할 예정”이라며 “AI 서비스가 가진 불안정성의 특징이 있는 반면 카카오톡은 5000만 사용자에게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일부 민감한 AI 서비스들은 AI 플레이그라운드 상에서 우선 테스트하면서 결과를 바탕으로 빠르게 카카오톡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정 대표는 아울러 지속적인 경영쇄신도 약속했다. 현재 공정거래법상 카카오 계열사 수는 지난해 5월 대비 19개 줄어든 153개였다. 정 대표는 “앞으로도 자본시장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눈높이에 맞도록 거버넌스 개편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임원의 과도한 보상체계 개편을 위해 주가수익률을 연동해 설정하기로 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