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99원 쓰고 100원 번 코오롱글로벌…돈맥경화 심화 우려
by이건엄 기자
2024.02.29 18:55:45
지난해 4분기 원가율 98.8%…사실상 수익 전무
공사비·이자 상승 영향…예정원가 재산정도 악재
EBITDA 마진율 2.4%…현금창출력 투기등급 수준
“원가부담 통제 여부가 관건…재무부담 지속 전망”
사측 “인플레이션 선반영 영향…비주택 등 활로 모색”
[이데일리 마켓in 이건엄 기자]코오롱글로벌(003070)이 원가 압박을 크게 받으면서 현금 창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금흐름 둔화로 재무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수익마저 제대로 내지 못하다 보니 ‘돈맥경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미분양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비용 상승에 대한 코오롱글로벌의 고심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2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코오롱글로벌의 지난해 4분기 건설사업 매출원가는 6156억원으로 전년 5231억원 17.7% 증가했다. 매출은 6231억원으로 같은 기간 5838억원 대비 6.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른 매출원가율은 89.6%에서 98.8%로 9.2%p 상승했다. 즉 코오롱글로벌은 100원의 매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99원을 투입한 것으로 사실상 건설사업을 통해서는 수익을 내지 못한 셈이다. 현재 코오롱글로벌의 전체 매출 중 건설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84%에 달한다.
| 코오롱글로벌 본사 전경. (사진=코오롱글로벌) |
|
◇ 이처럼 코오롱글로벌의 원가 부담이 높아진 것은 공사비와 금융비용 상승 영향이 크다. 전반적인 물가가 오르면서 공사비 상승을 부추겼고, 지속된 고금리 기조 역시 부담으로 작용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건설공사비지수는 지난해 12월 153.26으로 1년 새 3.2% 상승했다. 건설공사비지수는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재료, 노무, 장비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다. 여기에 코오롱글로벌의 경우 건설부문 준공손실 반영과 예정원가 재산정 영향으로 수익성이 하락했다.
원가부담 확대는 현금흐름 둔화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코오롱글로벌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건설 경기 침체로 수익성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원가 압박마저 높아지면서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되는 현금이 급격히 줄었기 때문이다.
코오롱글로벌의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마진율은 지난해 3분기 2.4%를 기록하며 전년 말 6.4% 대비 4%p 하락했다. 이는 신용평가사들의 평가방법론 기준 ‘B’에 해당하는 것으로 코오롱글로벌의 현금창출능력은 투기등급에 준한다고 볼 수 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잉여현금흐름도(FCF) 마이너스(-) 2332억원을 기록했다.
EBITDA는 이자와 세금, 감각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등을 차감하기 이전 이익으로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현금 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잉여현금흐름은 영업현금흐름에서 자본적지출을 차감한 금액을 말한다.
우려스러운 것은 코오롱글로벌의 재무적 체력이 여의치 않다는 점이다. 재무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원가 압력이 더욱 높아질 경우 건전성이 더욱 취약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코오롱글로벌의 지난해 9월 말 기준 부채비율은 313%로 적정 수준인 200%를 크게 웃돌고 있다. 9월말 연결기준 순차입금은 6653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4365억원 증가했다.
최한승 한국기업평가 실장은 “건설부문의 높은 원가부담 통제 여부가 향후 수익성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며 “운전자본부담, 신규수주 관련 대여금 등 자금 소요 등을 감안했을 때 당분간 현재 수준의 재무부담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 지난 1일 대전 유성구 봉명동에 있는 코오롱글로벌 PF 부지 현장.(사진=전재욱 기자) |
|
◇ 특히 미착공 단지 대부분이 대전과 울산 등 부동산 경기 침체가 뚜렷한 지역에 분포돼 있다는 점에서 불안감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해당 지역에서 미분양 발생할 경우 향후 이자 등 추가적인 비용 지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코오롱글로벌은 △대전 봉명동 오피스텔 △대전 선화동 주상복합 3차 △울산 야음동 공동주택에 대해 연내 본PF로 전환하고 분양을 계획 중이다. 지난해 12월 30일 기준 대전 미분양 주택은 894가구로 전월 대비 147가구 증가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대전과 울산의 경우 수도권 대비 조정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며 “대도시 권역을 형성하고 있는 만큼 소도시보다는 상황이 낫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 여파를 피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와 관련 코오롱글로벌 측은 보수적으로 원가를 반영한 만큼 향후 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비주택 사업을 확대해 수익성 제고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회사 측 관계자는 “새로 착공하는 물량에 대한 인플레이션을 선반영하고 자산의 원가를 보수적으로 책정한 영향으로 원가율이 높아졌다”며 “주택사업의 원가율은 양호한 수준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자금 회수가 유리한 비주택을 중심으로 수주를 확대하고 있다”며 “대전과 울산 등 착공을 앞두고 있는 지역들 역시 교체 수요 등을 고려했을 때 충분히 소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