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답방 초읽기·靑 준비 분주…남산타워 방문·한라산 등반 현실화?
by김성곤 기자
2018.12.06 16:47:26
한미정상회담 文대통령·트럼프 공감대 이후 金답방 임박설 솔솔
靑, 金답방 전제 사전준비 본격화…文대통령 “경호안전 철저히 보장”
金답방 일정 극비보안 속 국내외 이목 끌 이벤트 마련에도 고심
김정은, 추가 비핵화 조치 언급 가능성…북미협상 돌파구 마련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월 20일 삼지연초대소를 방문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산책을 하며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
[이데일리 김성곤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답방이 사실상 카운트다운에 접어들었다. 제2차 북미정상회담 연기로 무산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지만 한미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공감대를 나타내며서 다시 힘을 얻었다. 변수는 김정은 위원장의 결단이다. 좌고우면하지 않고 정면승부를 선택하면 연내 답방은 현실이 된다.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답방을 전제로 본격적인 준비에 접어들었다. 정확한 답방 시기와 일정은 극비사항이다. 다만 경호·의전·보도 준비와 관련해 미확인 관측이 끊이지 않고 있다. 답방 임박설을 보여주는 증거들이다. 최근에는 청와대나 통일·외교·안보 부처 고위 인사들이 김 위원장의 답방에 대비해 외부약속을 줄줄이 취소했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로는 12월 18∼20일 2박 3일행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문 대통령이 평양방문 이후 꼭 3개월만이다. 청와대는 부인했지만 김 위원장의 선친인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7주기인 17일 이후 답방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전망이 맞다면 남은 준비기간은 불과 열흘이다. 해방 이후 분단과 전쟁으로 이어진 한국현대사에서 북한 최고 지도자의 첫 대한민국 방문은 세계적인 빅이벤트다. 연내 답방이 아니라 내년 초로 연기된다 해도 물리적인 준비 시간이 촉박하다.
물론 올해 3차례에 걸친 남북정상회담 사례를 감안하면 김 위원장의 답방만 결정되면 일사천리로 준비가 이뤄질 수 있다는 분석도 없지 않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5일 세종시 총리공관에서 가진 출입기자단 만찬간담회에서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기 때문에 플랜 1·2 그런 것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결정난 건 건 없다”면서도 “여러 시나리오를 마련해 놓고 준비 중이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가장 신경 쓰이는 대목은 경호와 안전 문제다. 지난 9월 문 대통령의 평양방문은 폐쇄적인 북한 사회의 특성 탓에 경호·의전에서 큰 어려움이 없었다. 반대로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은 난제가 적지 않다. 당장 보수층의 답방 반대 시위가 부담이 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지난 2일 기내간담회에서 “북한에서 가장 신경을 쓸 부분이 경호라든지 안전의 문제”라면서 “우리가 철저하게 보장을 해야 한다. 경호나 안전 보장을 위해 교통 등 불편이 초래되는 부분이 있다면 국민들께서 조금 양해해 주셔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시 어떤 이벤트가 마련될지도 관심거리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9월 방북 당시 △평양 시내 카퍼레이드 △15만 평양시민 대상 연설 △백두산 천지 등반으로 눈길을 사로잡았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월 청와대 출입기자단과의 산행에서 “‘백두에서 한라까지’라는 말도 있으니 (김 위원장이) 원한다면 한라산 구경도 시켜줄 수 있다”고 말했다. 사실상 남북정상의 한라산 공동 등반을 예고한 대목이다. 또 김 위원장의 KTX 탑승, 삼성 등 국내 대기업 현장방문도 검토될 수 있는 카드다. 일각에서는 남북정상 내외의 서울 남산타워 동반 관람이 깜짝 이벤트로 마련될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덧붙여 김 위원장의 국회 연설도 아이디어 차원에서 제기됐지만 이는 보수 야당의 반대로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위원장의 답방은 9월 평양공동선언을 이행하는 것이다. 거슬러 올라가면 2000년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선친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지키지 못한 ‘남한 답방’ 약속을 뒤늦게 실천하는 것. 특히 김 위원장의 답방 자체가 매력적인 이벤트다. 핵미사일 개발에 주력한 불량국가 이미지를 벗고 국제사회에 정상국가의 일원으로 데뷔할 수도 있다. 문 대통령은 “김위원장의 답방이 이뤄진다면 그 자체로서 세계평화 메시지와 비핵화·남북관계 발전 의지를 다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 중요한 건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이 가져올 나비효과다. 지난 6월 제1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팽팽한 줄다리기를 이어온 북미간 비핵화 협상의 극적 돌파구가 될 수 있다. 서울답방을 계기로 김 위원장이 ‘영변핵시설의 사찰·검증 수용’이라는 추가적인 비핵화 조치를 내놓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이와 관련, “중요한 건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북한의 비핵화를 더욱 촉진하고 더 큰 진전을 이루게 하는 것”이라면서 “이어질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보다 큰 폭의 비핵화 진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촉진·중재·설득하는 게 중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