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늘막·물안개로 폭염 취약계층 보호한다
by박태진 기자
2025.06.17 13:13:48
서울시 폭염종합대책 발표…9월말까지 가동
물청소 늘리고 쿨링포그·쿨루프 확대
폭염 위기단계별 대응체계 빈틈없이
어르신·쪽방주민 등 돌봄도 강화
자치구 무더위쉼터 관리감독·홍보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올 여름 역대급 무더위가 찾아올 것으로 예보된 가운데 서울시가 어르신·쪽방 주민·야외 근로자 등 폭염 취약계층 보호에 나선다. 또 물 청소차와 쿨링포그, 쿨루프 등을 총동원해 도심 열섬을 완화하고 횡단보도나 광장에 그늘막을 설치해 쾌적한 여름철 도시환경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9월 말까지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하는 ‘2025 폭염종합대책’을 가동한다고 17일 밝혔다.
 | 초여름 날씨를 보이는 지난 8일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장군 동상 앞 바닥 분수에서 어린이들이 뛰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
시는 우선 ‘쿨링시티(Cooling City) 서울’ 조성을 위해 도심 온도를 직접 낮추는 물 청소차 운영을 강화한다. 주요 간선도로와 일반도로 총 1973㎞ 구간에 물청소차 187대를 투입해 최고기온 시간대(오전 10~오후 3시) 일 1~2회 물청소를 한다.
폭염특보가 발효되면 도로사업소 차량 12대를 추가 투입하고 물청소 구간도 181.4㎞ 확대한다.
경로당, 주민센터 등 77곳에는 건물 옥상에 ‘쿨루프(옥상 태양광 반사 도료 시공)’를 설치해 온도를 낮추고 냉방에너지도 절감할 계획이다.
그늘막도 늘어난다. 횡단보도와 광장, 공원 등 시민 이동이 잦은 장소를 중심으로 그늘막 422개를 새롭게 설치한다.
물안개를 분사해 주변 온도를 낮추는 ‘쿨링포그’도 21개를 추가 설치한다.
또 북한산, 관악산 등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을 도심으로 유도하는 ‘바람길숲’도 조성하고, 도심 녹지 공간도 지속적으로 확충한다.
신속한 대응을 위해 폭염 위기단계별 대응체계도 빈틈없이 가동한다.
‘관심’ 단계인 평시에는 상황관리TF팀이 위험 징후를 감시하고, ‘주의·경계·심각’ 등 폭염특보 발효 때는 시와 자치구에 폭염종합지원상황실을 가동하고 대응 체계를 유지한다.
온열질환자 응급실 감시기관도 64곳에서 70곳으로 확대 운영한다. 서울시 내 응급실 운영의료기관 70곳을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사례를 접수하고, 온열질환 의심환자 현황을 관리한다.
온열질환자 대상 긴급구조·구급 출동도 강화한다. 구급대(구급차 161대), 펌뷸런스(펌프차 119대)에 온열질환자 응급처치 물품을 상비하고, 폭염특보 시 노숙인 밀집 지역, 쪽방 등을 순찰해 온열질환 위험군을 조기 발견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어르신·쪽방주민·중증 장애인·야외근로자 등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과 보호도 강화된다.
특히 어르신 돌봄 인원을 작년보다 1600여명 늘려 3만9343명으로 확대하고, 폭염특보 발령 시 생활지원사가 1~2일마다 전화·방문으로 안부를 확인한다.
쪽방 주민을 위한 특별대책반을 구성해 10개조 20명이 1일 2회 순찰하고, 노약자나 기저질환자를 대상으로 주 2회 쪽방간호사가 방문해 건강을 살핀다.
거동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 2만7000명에게는 활동지원사·야간 돌보미를 통해 24시간 건강관리를 지원한다.
야외근로자에 대한 보호 대책도 강화된다. 공공·민간 건설 현장, 공공일자리 근로자 등 옥외작업자를 대상으로 폭염 단계별 휴식 시간 보장, 작업시간 조정·중단 등 보호조치가 적용된다.
이밖에 대표적 폭염대피시설인 무더위쉼터의 운영 내실화를 위해 관리 감독과 홍보를 강화한다.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대책 기간 중 5회 이상 합동 현장점검을 실시하고, 무더위쉼터의 위치, 운영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서울안전누리’로 연결되는 QR코드(정보무늬) 스티커도 제작·배포한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폭염취약계층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시의 역량과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해 시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