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필수" 10명 중 2명…외모, 배우자 선택기준 '꼴찌'

by이유림 기자
2022.12.19 21:09:12

문체부 '2022년 한국인 의식·가치관 조사'
'결혼 반드시 해야' 응답, 17.6%에 불과
배우자 선택기준, 성격 1위…외모 꼴찌
혼전순결·이혼·낙태 인식 크게 달라져

[이데일리 이유림 기자] 결혼은 필수라고 생각하는 국민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10%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자료)
19일 문화체육관광부가 공개한 ‘2022년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에 따르면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응답은 17.6%에 불과했다.

이 응답 비율은 △1996년 36.7% △2006년 31.9% △2016년 26.7% △2019년 19.7%로 꾸준히 줄었다.

배우자 선택 시 중요한 요소로는 ‘성격’이 63.1%로 1위를 차지했다.

뒤이어 직업(장래성) 13.7%, 재산 10.7%, 가정환경 8.0%, 외모 2.7% 순으로 조사됐다.

‘혼전순결을 지켜야 한다’는 응답은 42.4%로 2016년 62.6%, 2019년 47.3%보다 줄었다.



‘이혼을 해서는 안 된다’는 응답도 43.7%로 2016년 58.6%, 2019년 46.0%와 비교할 때 줄었다.

‘낙태를 해서는 안 된다’는 응답도 48.9%로 2016년 73.3%, 2019년 50.0%보다 감소했다.

반면 ‘동거도 결혼의 한 형태로 인정해야 한다’는 응답은 67.3%로 2016년 50.2%, 2019년 63.5%보다 늘었다.

일과 여가의 균형에 대해서는 ‘여가에 비중을 둔다’가 32.2%로 ‘일에 비중을 둔다‘(30.9%)는 응답보다 근소하게 높았다.

다만 2019년 조사에서는 ‘여가보다 일’이라는 응답이 48.4%, ‘일보다 여가’라는 응답이 17.1%에 그친 바 있어 점차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자기 결정성이 높아진 양상을 보였다.

문체부가 발표하는 이 조사는 1996년 시작해 2013년부터는 3년마다 실시되고 있다. 올해가 8번째다.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7월 13일부터 8월 24일까지 한 달여 간 전국 성인 남녀 5100명을 대상으로 가구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