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무상원조 사업규모 2조5866억원…전년비 21.5%↑

by정다슬 기자
2022.06.22 17:27:46

교육 ODA 추진전략 첫 수립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내년 무상원조 사업 규모가 2조 5866억원으로 확정됐다. 전년대비 21.5% 늘어난 수치다.

외교부는 22일 제4차 무상개발협력전략회의를 서면 개최해 2023년 무상분야 국제개발협력 시행계획과 교육 공적개발원조(ODA) 추진전략을 상정·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외교부 등 14개 무상원조 관계부처와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KOICA), 한국수출입은행이 참석했다.

전략회의는 무상원조 제반사항을 총괄 심의·조정하는 최고위급 협의체로, 무상원조 분야의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고 무상원조 사업을 심사·조정·이행 점검·지원 등을 한다.

2023년 무상분야 국제개발협력 시행계획(요구액 기준)은 내년도 무상분야 ODA 정책과제와 사업을 담은 종합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시행계획을 보면 정부 및 공공기관이 직접 각국에 지원하는 양자협력사업에 2조 3721억원, 유엔개발계획(UNDP)·세계보건기구(WHO) 등 국제기구에 지원하는 다자협력사업에 2146억원의 사업비가 각각 할당된다.

양자협력사업 대상은 아시아가 24.2%로 가장 많고 아프리카가 15.2%, 중남미 7.8%, 중동·독립국가연합(CIS) 6,7%로 뒤를 잇는다. 분야별로 보면 인도적 지원에 17.3%이 할당되며 교육(11.8%), 보건(11.2%), 공공행정(8.9%) 등이었다.

교육 ODA 추진전략은 교육 분야에서 최초로 수립한 범부처 무상원조 전략으로서 △코로나19로 인한 학습결손 회복을 위해 기초교육 지원 및 취약계층 교육을 확대하고 △디지털 기반 교육 격차 해소에 기여하며 △고등·직업교육 지원을 통한 인재 양성과 △‘세계시민교육 이니셔티브’ 확산 계획을 담고 있다.

정부는 통합적인 교육ODA을 추진하기 위해 △무상분야 교육 ODA 추진체계를 정비하고 △양·다자 국제협력을 강화해나가길 예정이다.

외교부는 “무상원조 주관기관으로서 선진국형 국제 개발 협력을 추진하고 통합적 무상원조 기반 마련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