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넘은 SKT vs LG유플 난타전..끝은 어디일까

by김현아 기자
2014.02.13 18:34:12

두 회사 인식차 극명..불안한 통신시장
고래들의 보조금 지급 경쟁에 알뜰폰과 협력사만 죽을 판
요금인가제, 보조금 제재시 지배적 사업자 규제강화 두고 논란일 듯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간 난타전이 볼썽사납다. 서로 저쪽이 지나치게 과도한 단말기 보조금을 쏟아부어 고객을 싹쓸이 했다고 하면서 원색적인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SK텔레콤이 “품질은 ‘꼴찌’, 보조금은 ‘1등’…낮은 품질을 보조금으로 막는 형국”이라고 공격하자, LG유플러스가 “SKT, 경쟁사 사실무근 비방 알고 보니 숫자조작”이라고 맞받았다.

동종 업계에서 꼴찌, 숫자조작 같은 감정을 건드리는 말까지 오간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내일(14일) 방송통신위원회의 불법 보조금에 대한 시정명령 위반 제재 의결을 앞두고, 나도 완전히 깨끗하진 않지만 남을 더 깎아내려 살겠다는 심리로 보인다.

최근 며칠 간 난타전을 진행 중인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KT는 이 논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지 않고 있다.
하지만 두 기업의 고위 관계자들은 모두 “이대로 가면 안 된다. 모두에게 득이 안 된다”고 말한다. 이런 행보는 결국 규제기관인 방통위의 심기를 건드려 규제의 강도를 높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국내 ICT 업계의 강자들이 품질이나 서비스가 아닌 영업 이슈로 벌이는 싸움때문에 전체 ICT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우려된다. 두 회사보다 요금이 저렴한 알뜰폰(통신재판매)은 강자들의 막대한 보조금 투하로 살아남을 수 없고, 심각한 마케팅비 부담으로 혁신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R&D)은 뒤처질 수 있는 것이다.

LG유플러스 고위 관계자는 “먼저 자료를 낸 쪽은 SK텔레콤”이라면서 “지금까지 보도자료까지 내면서 비난한 적은 없었다. 대응 안 하면 잘못을 인정하는 셈이 돼 어쩔 수 없이 내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미래부와 통신품질평가는 마케팅에 안 쓰기로 합의했고 99%와 98%는 큰 의미가 없는데, 먼저 우리를 공격했다”면서 “연초부터 시장을 과열시켜 영업정지 등 강한 제재를 일으키고 시장을 쿨 다운시켜 가장 유리하게 가려는 SK텔레콤의 전략에 우리가 말려든 셈”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SK텔레콤 고위 관계자는 “문제의 시작은 방통위의 과징금 조치가 내려진 직후인 지난해 12월 28일부터”라면서 “당시 우리만 (규율을) 지켜서 2만2000명 정도 잃었다”고 말했다.

또 “(LG유플러스에 대한 비판) 자료를 내게 된 것은 지난주 토요일 LG가 모이자고 하고서 상도의를 어기면서 보조금을 120만 원까지 쓰면서 가입자를 가져가자 해도 너무한다는 생각때문에 내게 된 것”이라며 “오죽했으면 KT도 1, 2월 보조금 사태의 주범은 LG유플러스라고 하겠느냐”라고 반박했다.



업계에 따르면 2월 8일부터 10일까지는 LG유플러스가 보조금을 많이 썼고, 11일과 12일은 SK텔레콤이 많이 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두 회사 모두 출고가 90만 원인 단말기에 120만 원, 130만 원의 보조금을 쏟아부어 계속 경쟁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LTE 고객 한 사람 당 받은 요금이 4만 원이라고 했을 때 24개월을 약정했다고 해도, 2년동안 받는 요금은 96만 원. 고객유치 비용(120만 원)보다 적어 밑지는 장사인 셈이다. 여기에 방통위로부터 받는 수백억 원의 과징금 등을 합치면 불필요한 싸움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국민은 요금이 더 싼 알뜰폰으로 눈을 돌릴 기회도 박탈당하고, 제조사들은 단말기 출고가를 내릴 이유도 찾을 필요가 없어진다는 점은 매우 우려스럽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단말기 보조금 지급 경쟁이 지금 같은 양상으로 장기전으로 진행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다만, 두 회사의 감정이 쉽게 회복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지난해 LTE 주파수 경매때 LG유플러스는 SK텔레콤에 배신을 당했다는 입장이고, SK텔레콤은 자사에 가장 유리한 방향으로 한 정당한 결정이라는 입장이다.

이는 올 한 해 △통신요금인가제를 유지할 것인가△불법보조금 제재 시 시장지배적사업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것인가 등을 두고 지속적으로 제기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