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통증 '요로결석', 지난해 30만명까지 환자 늘어

by박경훈 기자
2021.08.19 15:13:18

남성환자 '16년 18.3만→지난해 20.3만명
여성환자 '16년 9.5만→지난해 10만명
50대가 가장 많아, 40대, 60대 순
건보 총 진료비도 '16년 2427억→지난해 3634억원

[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요로결석으로 의료기관을 찾는 환자가 해마다 늘어 지난해 30만 3000명까지 늘어났다.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1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요로결석 진료 인원은 2016년 27만 8000명에서 지난해 30만 3000명으로 연평균 2.2%씩 증가했다. 요로결석은 소변 내 칼슘, 수산염, 인산염 등 결석 성분의 농도가 높아져 결정이 형성되는 질환으로, 옆구리와 복부 등에 극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남성 환자는 2016년 18만 3000명에서 지난해 20만 3000명으로 10.6% 증가했고, 여성 환자는 같은 기간 9만 5000명에서 10만명으로 5.9% 늘었다.

지난해 환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24.1%(7만 3000명)로 가장 많았고 40대와 60대가 각 20.7%(6만 3000명)로 그 뒤를 이었다.



환자 증가에 따라 요로결석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도 2016년 2427억원에서 지난해 3634억원으로 49.7%(1207억원) 늘었다.

1인당 요로결석 진료비는 2016년 87만 3000원에서 지난해 119만 8000원으로 37.4% 증가했다. 지난 2016~2020년 월별 요로결석 진료 인원을 보면 지난해를 제외하고 모두 8월에 가장 많았다.

요로결석을 방치하면 신기능 저하, 요로감염, 패혈증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요로결석은 수술로 치료할 수 있고 결석이 1㎝ 미만인 경우 자연배출 치료가 권고된다.

강숭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더운 날 땀 등으로 (수분) 소실이 많아지면 소변이 농축되는데 농축된 소변에서 결정 형성이 쉬워진다”며 “특히 여름철 비타민D 합성이 많아지고 소변에서 칼슘 배설을 조장하기 때문에 요로결석의 발생이 증가하게 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