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노희준 기자
2024.07.03 17:58:52
[역동경제 및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금융부담 덜고 배달료·전기료 지원 추진
정책자금 상환연장·전환보증·대환대출 등 금융지원 확대
새출발기금 40조원+ 확대 및 철거비 400만원 상향
소상공인 "환영"…전문가 "방향성 맞지만 실효성 보완해야"
[이데일리 노희준 김영환 김경은 기자] 정부가 3일 고금리 내수 침체 속에서 벼랑 끝으로 몰린 자영업자 종합대책을 내놨다. 발등의 불인 금융, 배달료, 전기료 등 주요 비용 부담을 완화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소상공인 채무조정을 강화하고 폐업시 재취업을 지원해 한계 소상공인 퇴로를 열어준 게 핵심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책이 단순한 금융재정 지원책을 넘어 재기 지원 방안이 포함돼 바람직하다고 평가하면서도 소상공인의 재취업 지원정책이 임시직이 아니라 안정적인 일자리로 이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부 정책은 구체성이 떨어졌다는 지적도 나왔다.
국내 570만명의 자영업자는 최근 경영상황이 빠르게 나빠지고 있다. 연매출 5000만원 미만 소상공인 비중은 2019년 28.1%에서 2022년 34.6%로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연매출 5000만~1억원 이상 소상공인 비중은 46.7%에서 42.7%로 4%포인트 줄었다.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자영업자 대출은 지난 1월 1055조원까지 불어났다. 개인사업자 폐업자 수는 지난해 91만명까지 급증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먼저 상공인의 채무부담 경감에 나섰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정책자금을 빌렸지만 다중채무와 신용점수 하락 등으로 경영애로를 겪고 있는 소상공인의 정책자금 상환기간을 최대 5년까지 늘렸다. 혜택 선정 기준도 대상의 업력 및 대출잔액 요건을 폐지해 완화했다. 또 지역신용보증재단의 보증부 대출을 이용하는 소상공인이 상환기간을 최대 5년까지 연장할 수 있도록 5조원 규모의 전환보증도 신설했다.
정부는 전기료와 배달료 등 고정비용 부담 완화도 추진한다. 일단 20만원의 전기료 지원 대상을 연매출 3000만원 이하 소상공인에서 6000만원 이하로 확대했다. 추가로 50만명이 혜택을 볼 전망이다.
소상공인 배달료 부담 완화책도 추진한다. 배달 플랫폼 사업자, 외식업계 등 이해관계자로 협의체를 꾸려 연내 상생협력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음식점 등 영세 소상공인에게는 내년부터 배달료 지원도 추진한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배달료 지원책의 구체성이 낮다는 지적에 대해 “전기료 지원과 마찬가지로 비용부담 구조가 어떻게 되는지 분석이 필요하다”며 “공정거래위원회,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부처와 업계가 배달 플랫폼 배달료나 수수료 자체가 적정한지, 불공정 요소가 없는지 등을 먼저 점검할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