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경은 기자
2025.03.31 16:28:10
1분기 유상증자, 전년 대비 5.3조 증가
투자자금 선제확보 나서는 기업들
'운영자금→타법인 증권 취득' 목적 급증
경영환경 변화 대응 vs 지배구조 개편 과정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올해 1분기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 조달 규모가 전년 대비 급증하며 기업들이 미국 관세 장벽 대응과 신규 시장 진출을 위한 투자 자금 마련을 위해 주식시장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선 상법 개정안 통과 등 강화하는 주주가치 제고 분위기에 자금조달을 앞당겨 시도한 것이란 시각도 나온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 들어(1월1일~3월30일) 유상증자 결정 공시 상장 기업의 수는 89개사로, 총 증자규모는 7조2139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회사 수는 6개사가 늘어났고, 발행규모는 5조 3364억원 급증했다.
주식발행 규모가 급증한 배경으로는 삼성SDI(006400)(2조원)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3조6000억원)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시설자금 및 타법인 증권 취득’ 목적의 자금조달이 크게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1분기 유상증자의 주요 목적으로 ‘운영자금’이 69%를 차지했지만, 올해는 ‘타법인 증권 취득’ 자금이 55.6%로 가장 높았다. 해당 목적 용도 발행사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2조4000억원), 삼성SDI(006400)(1조5460억원), 에코프로머티(450080)(550억원), 아이에이(038880)(100억원), 휴림로봇(090710)(10억원) 등 5곳이다.
시설자금 목적도 조달도 1조9541억원으로 전년 1405억원 대비 큰 폭 늘어났다.
반면 지난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운영자금’과 ‘채무상환’ 목적은 각각 5088억원, 627억원 줄어든 7868억원, 2014억원으로 집계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