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파마·한센·실러, 그들은 누구?

by김남현 기자
2013.10.14 21:31:28

‘자산가격 경험적 분석’ 공로..주식·채권 장기적 가격 예견..인덱스펀드 등 기반

[이데일리 김남현 기자] 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 시카고대 유진 파마(Eugene F. Fama, 74)와 라르스 피터 한센(Lars Peter Hansen, 61) 교수, 예일대의 로버트 실러(Robert J. Shiller, 67) 교수의 연구업적은 ‘자산 가격에 대한 경험적 분석’이다.

파마와 실러 교수는 방법론은 다르지만 주가지수를 예측할 수 있다고 본다. 파마 교수는 1960년대 등장한 ‘효율적 시장이론’에 기반해 시장은 효율적이라는 가정에서 논리를 전개한다. 이에 따라 주가지수에는 모든 정보가 즉각 반영돼 이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이 때문에 시장에 대한 정부 개입도 불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정부의 개입과 규제를 반대해 현재 신자유주의의 태동이 된 시카고학파의 대표주자로 꼽힌다. 노벨위원회는 파마 교수의 이론이 주가지수에 연동해 수익을 추구하는 인덱스펀드의 탄생 배경이라고 평가했다.

실러 교수는 반대로 ‘행동주의 경제학’에 입각해 장기적으로 주가지수를 예측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인다. 투자자들은 통상 비이성적이기 때문에 집값에 버블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기도 했다. 1980년대 초 주가와 기업 배당액의 변동성을 비교한 주가수익비율을 고안, 이 비율이 하락하면 주가가 오르고 반대면 주가가 상승한다는 이론을 정립했다.



한센 교수는 계량분석학 쪽에 기여했다. 단순히 이론적으로만 제시됐던 자산평가이론(Empirical Asset Pricing)들을 실증할 수 있는 통계적 모델들을 고안했다. 특히 그는 주식을 비롯한 위험자산이 미국 국채나 금 같은 안전자산보다 높은 수익률을 보장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익명을 요구한 국내 학계의 한 관계자는 “세명 모두 재무분야 전문가다. 미국 등 세계 주요국에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재무분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팽배한 상황에서 상을 받았다는데 의미 있다. 일종의 ‘인정’이라고도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앞서 재무분야 전문가가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것은 블랙 숄즈 모델을 창안해 낸 마이런 새뮤얼 숄즈 정도를 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