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식자회담' 나온 셰프들 "한식 인기 치솟지만 산업화·체계화 부족"

by최영지 기자
2022.09.06 17:00:00

6일 방송서 한식산업화 문제점 논의 오가
"현장에 사람이 없다..인력 문제가 한식산업화 걸림돌"
"르꼬르동 블루처럼 한식 셰프 양성 교육기관 필요"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대한상공회의소가 국가발전 프로젝트 두 번째 시즌으로 진행하고 있는 ‘식자회담’에서 한식(韓食) 셰프들의 “그간 높아져 온 한식의 세계적 인기와는 별개로 한식을 산업 구조화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국가발전 프로젝트 시즌2 주제로 ‘한식의 산업화’를 선정했다. 사진은 지난달부터 SBS에서 방영되는 경제토크쇼 ‘식자회담’의 출연진. (사진=대한상의)
6일 방영된 SBS 경제토크쇼 ‘식자회담’에서는 현장 최전선에서 40년간 뛰어온 셰프들이 느껴온 한식산업화의 문제점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다. 이날 방송에는 권우중 셰프와 이원일 셰프 등이 나왔다.

함께 출연한 조희숙 셰프는 “한식 셰프의 멸종 위기가 문제”라며 인재양성 문제가 한식산업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30~40년 전에 요리할 때도 인력난이 있었는데, 지금도 현장에는 사람이 없다”며 “그동안 사람이 안 키워진 것인데, 그러면 인재 양성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했다.

실제로 한 조사에 따르면, 식품·외식 분야 중 ‘조리과학·조리계열’ 재학생의 ‘한식 분야 일자리’ 선호도는 23%에 불과하다. 이들이 한식을 희망하지 않는 이유는 ‘적성에 맞지 않아서’(43.8%), ‘업무 강도가 높아서’(13.7%), ‘전망이 좋지 않아서 (4.9%) 등으로 조사된 바 있다.

셰프들은 이에 대해 르꼬르동 블루, 페란디 요리학교와 같이 한식 셰프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기관 설립에 대해 논의했다. 대체로 한식 교육 기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했으나, 기존과 같은 직업학교 형태는 실효성이 부족하다고 공감했다.



이외 한식당 비즈니스가 갖는 구조적 문제(낮은 마진율, 인건비 등), 한식에 대한 인식 개선, 재료 수급, 전문 서버의 양성 문제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한편 식자회담에 출연한 기업인들은 한식산업화에 대해 앞으로 해나가야 할 일이 더 많은 분야라고 전한 바 있다. 이들이 점수 매긴 현재 한식의 산업화 점수는 10점 만점 기준 3점이다. 이날 출연진들은 또 한식을 산업으로서 육성하고 발전시키려는 전략과 접근은 아직 미흡하다고 분석했다. 한식의 인기와는 별개로 산업화·체계화되지 못하고, 전반적인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대한상의 측은 “앞으로 방영될 방송에서 지금까지 제기됐던 많은 문제점들에 대해 해법을 고민해보는 시간이 될 것”이라며 “향후 한식 산업화를 위해 관련 업계 의견을 모으는 창구를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지난달부터 6주 동안 방영하는 SBS의 식자회담 프로그램을 통해 한식 산업의 분야별 문제점과 해법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