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의 질병` 결핵 퇴치에 정부 나섰다
by이지현 기자
2019.05.28 16:09:41
6·25전쟁 빈곤상황 결핵균 창궐…현재도 영향권
목표 2030년 결핵환자 인구 10만명 당 10명 미만
결핵관리 사각지대↓조기진단 치료효과↑ 신약 개발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2030년까지 결핵을 퇴치하겠습니다.”
정부는 28일 결핵예방관리 강화대책을 발표하며 이같은 일성을 밝혔다. 현재 ‘결핵퇴치’ 기준은 결핵발생률 인구 10만명 당 10명 미만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10만명 당 70명에 이른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UN의 경우 2035년까지 결핵을 끝내겠다는 게 목표”라며 “우리나라는 그보다 5년을 당겨서 2030년까지는 현재 OECD 수준인 10만명 당 10명 발병률로 낮추겠다는 것이 이번 정부의 확고한 의지”라고 설명했다.
과연 가능할까. 결핵은 결핵균에 의한 호흡기 전파된다. 폐결핵 환자로부터 나온 미세한 침방울이 폐로 들어가 결핵균에 감염된다. 6·25전쟁 이후 빈곤상황을 겪으며 결핵균이 창궐했고 현재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태다. 실제로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국민 3명 중 1명이 결핵에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많은 사람이 결핵균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모르고 넘기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밀접접촉자의 약 30%는 감염돼 잠복결핵 상태를 유지한다. 감염자의 약 10%만 발병한다. 감염자 2명 중 1명은 2년 이내, 다른 한명은 면역력이 떨어지는 시기에 평생에 걸쳐 나타난다. 이렇게 발병시기가 천차만별이다 보니 언제 감염된 지 모른 체 증상 없이 생활하다가 면역이 떨어질 때 나타나 사전통제가 되지 않는다.
결핵환자 표준 치료기간은 6개월이다. 다른 사람에게 결핵균을 전파하지 않는 잠복결핵감염의 경우 치료를 받으면 60~90% 수준으로 발병을 예방할 수 있다. 치료를 받지 않으면 결핵발생 위험률이 치료한 사람보다 7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6개월 이상 관련 약을 꾸준히 먹어 완치가 되더라도 언제든지 재발이 가능한 것도 문제다.
성인용 예방백신이 없다는 점도 결핵 퇴치의 어려움 중 하나다. 영아용 BCG백신은 어린이의 뇌수막염 등 중증결핵을 예방하지만 성인용 예방백신의 경우 개발되지 않은 상태다.
정부는 결핵관리 사각지대를 없애고 조기진단을 통해 치료 효과를 높이며 생애주기별, 대상집단별 결핵발생 범위를 전방위로 확대해 보다 촘촘한 관리를 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성인용 예방백신 개발 등도 추진해 결핵환자 감소세에 가속도를 내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우선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접근해 연평균 환자발생률을 줄여나가겠지만 확대되는 영역은 앞으로 많이 있다”며 “공기 매개로 전파되기 때문에 외부적인 경제효과까지 따지면 (결핵환자 감소에) 큰 효과까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