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S&P “아태지역 성장세 견조…수출 회복세”

by박미경 기자
2024.07.11 15:50:36

S&P ‘높아지는 무역장벽에 따른 신용평가 변화’
“주요 선진국 대비 미국 성장 양호해”
“대만·한국…반도체, 하이테크 전자기기 등 수출 회복”

[이데일리 마켓in 박미경 기자] 아태지역에서 신흥국을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내수 전망이 긍정적이며 수출 회복세가 확산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11일 루이 커쉬 S&P 아태지역 수석이코노미스트(전무)가 은행회관에서 열린 ‘높아지는 무역장벽에 따른 신용위험 변화’ 세미나에 참석해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박미경 기자]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11일 국제금융센터가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높아지는 무역장벽에 따른 신용평가 변화’를 주제로 연 세미나에서 이같은 전망을 제시했다.

유럽 등 주요 선진국 대비 미국의 양호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당분간 미국의 금리 인하는 유럽보다 제한적인 수준일 것이란 설명이다.

루이 커쉬 S&P 아태지역 수석이코노미스트(전무)는 “미국은 테크 산업과 인공지능(AI) 산업 등 성장에 더 노출돼 있어 초과 성과가 유지될 것”이라며 “인플레이션 압박이 줄어들어 올해 연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한번의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이어 “유럽과 미국의 금리 인하 수준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며 “소폭 인하가 이뤄지며, 오는 2026년에 이르러셔야 정책금리가 3%대로 형성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태지역의 경우 신흥국을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중국의 경우 1분기 성장률이 예상을 상회했으나 이후 모멘텀이 약화되며 올해 4.8%의 성장을 전망했다.



루이 커쉬 전무는 “지난해 가을부터 대만과 한국의 반도체, 하이테크 전자기기 등에서 수출 회복이 이뤄지고 있으며, 최근 다른 섹터와 다른 국가로 확대되고 있다”며 “이러한 수출의 개선은 한국과 같은 아태지역에 위치해 있는 수출 민감도 및 의존도가 높은 국가에 호재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아태지역의 인플레이션은 완화되고 있으나,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가 아태지역 금리 인하를 지연시키고 통화가치 유지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인플레이션 완화로 아태지역의 중앙은행은 금리를 낮출 여지가 있다”면서도 “한국은행 입장에서는 화폐가치의 약세를 더 이상 원하지 않기 때문에 환율의 평가 절하와 자금 유출을 막기 위해 구두로 개입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소버린 리스크가 이슈화돼 재정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평가다. 현재 주요국 정부부채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크게 높아졌으며, 정부조달 비용은 10년 이내 최고 수준에 가까운 상태다.

킴엥 탄 S&P 아태지역 국가신용평가팀(전무)는 “단기적으로 봤을 때 아시아 같은 경우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맞아 리파이낸싱 리스크 커졌다”며 “부채비율 등 이자를 감당하는 것이 국가예산에 큰 영향”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주요국들의 재정적자, 이자부담은 높은 수준을 이어가는 가운데 성장 둔화와 지정학적 우려는 저축률에 타격을 준다는 의견이다. 또 무역장벽 심화는 인플레이션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전환 측면에서도 부정적이다. 이러한 여러 대외요인들은 잠재성장률 하락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각국의 재정건전성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