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 제재에 돈줄 막힌 러시아, 16일 디폴트 고비

by장영은 기자
2022.03.07 15:43:02

JP모건, 러 국채 만기 돌아오는 16일 디폴트 선언 경고
루블화 가치 70% 폭락하고 외환보유고도 동결
러 정부, 외국인에 대한 국채 상황 거부 시사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러시아가 서방의 경제 제재로 조만간 디폴트(채무 불이행)를 선언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국채를 발행해 끌어다 쓴 돈을 갚지 못해 국가 부도를 선언할 위기에 처했단 이야기다.

반전 시위대가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의 얼굴을 합성한 사진을 들고 있다. 베네수엘라는 수년째 디폴트 위기에 빠져 있다. (사진= AFP)


파이낸셜타임즈(FT)는 6일(현지시간) 러시아가 다음 국채 만기일인 16일에 첫 디폴트 위기를 맞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날 만기가 돌아오는 외화 표시 국채를 갚을 여력이 없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대외 신인도 하락과 제재 우려로 루블화 가치는 전쟁 이후 70% 폭락했다. 6400억달러(약 770조원) 규모의 외환보유고 중 4000억달러는 미국과 영국 등의 은행에 보관돼 있어 제재로 접근이 불가능하다.

지난달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를 침공 이후 서방은 러시아 주요 은행을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 결제망에서 배제하고 해외 은행에 예치된 러시아 자산을 동결했다.



러시아가 국제 시장에 갚아야 할 외화 표시 국채는 390억달러(약 47조 8101억원) 수준으로 파악된다. 이 중 이달 안에 만기가 돌아오는 국채가 7억달러 규모다. 미 경제지 포천은 러시아가 이달 16일에 2건의 외화 표시 국채와 관련해 1억 1700만달러의 이자를 내야 하며 계약상 루블로는 지급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당장 16일에 이자를 갚지 못한다고 해서 바로 디폴트에 빠지는 것은 아니다. 해당 국채엔 30일간의 유예기간이 있어 4월 15일까지 상환 기한이 연장된다. 이 때까지 상환하지 못할 경우 최종 디폴트 처리된다.

JP모건은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미국의 러시아 정부 기관 제재, 서방 제재로 인한 지불 시스템의 혼란은 러시아가 해외에서 채권을 상환하는데 큰 장애물이 되고 있다”며, 달러가 바닥난 러시아가 디폴트를 선언할 공산이 크다고 봤다.

이에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무디스는 지난 3일 이후 이날까지 사흘 간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무려 10단계나 강등해 ‘Ca’등급으로 낮췄다. Ca 등급은 ‘투자 부적격 등급’ 중 밑에서 두번째 단계다. 통상 파산 상태를 의미하는 ‘C’등급의 바로 위다. 무디스는 “러시아의 채무 상환 의지와 능력에 대한 심각한 우려”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피치와 스탠더드앤푸어스(S&P)도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정크(투자 부적격) 수준까지 강등했다.

한편,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재무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러시아 비거주자에 대한 국채 상환은 서방이 러시아에 부과한 제재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서방의 제재가 계속될 경우 외국인에 대한 국채 상환을 거부할 수 있다는 경고로 읽힌다. 재무부는 또 러시아 거주자에 대해서는 외화표시 채권의 대금 지급을 자국 통화인 루블화로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