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뒤 서울, 녹지공원으로 강북·강남 이을 수 있다"

by이윤화 기자
2023.09.13 18:16:08

[인터뷰]②'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첫 한국인 총감독 조병수 건축가
올림픽대로 위 뉴욕 센트럴 파크 처럼 녹지 이어 다리로 연결
"그것이 100년 후 서울서 만날 새로운 생태도시 그린네트워크"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인간은 땅에서 태어나서 땅에 묻히죠. 땅은 인류의 진화를 포함한 모든 생명의 원천입니다. 이러한 ‘땅’은 그 의미를 ‘환경’으로 확장해 해석할 수 있죠. ‘땅의 건축’은 땅을 잘 보살피고 살리는 건축을 하자는 의미입니다. 개발의 시대를 거쳐 지금까지도 집을 지을 땐 효용성만 생각하고 도로를 개발할 때도 기능을 중심에 두지만, 땅의 모습 등 환경적 생태는 잘 고려하지 못하는 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행사 개최 이래 처음으로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의 한국인 단독 총감독을 맡은 조병수 건축가는 13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번 행사의 의의와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조 총감독은 올림픽대로를 공원으로 덮어 뉴욕의 센트럴파크 같은 녹지 지대를 구축해 강북과 강남을 잇는 브리지(다리)로 써야 한다고 했다. 이런 것들이 바로 서울의 100년 후 생태도시를 만드는 ‘그린 네트워크’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조 건축과의 일문일답이다.

[이데일리 방인권 기자]제4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총감독인 조병수 건축가가 13일 서울 반포동 조병수건축연구소(비씨에치오건축사사무소)에서 이데일리와 만나 인터뷰한 후 포즈를 취하고 있다.
△실무 건축가이기 때문에 한국인 최초 총감독을 맡을 수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 서울시장님이 부탁했다고 하면 고민하거나 하지 않았을 수 있는데 운영위원회에서 다양한 분야의 분들이 투표로 뽑았다고 들었다. 실무형의 건축가를 뽑은 것을 보면 서울시에서도 정말 이런 생태도시를 구현할 의지가 있다는 생각을 하게 돼 총감독 역할을 맡게 된 것 같다.

△인간이 땅에서 태어나서 땅에 묻힌다, 인류의 진화를 포함한 모든 생명의 원천이다. 이러한 ‘땅’은 그 의미를 ‘환경’으로 확장해 해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땅을 잘 보살피고 살리는 건축을 하자는 의미다. 개발의 시대를 거쳐 지금까지도 집을 지을 땐 효용성만 생각하고 도로를 개발할 때도 기능을 중심에 두지만, 땅의 모습 등 환경적 생태는 잘 고려하지 못한다.

△산길, 물길, 바람길이 이어져 우리나라 지형을 이루고 생태를 구성해왔는데 도시 개발로 그 연결성이 끊어지는 경우가 많이 생겼다. 이번 비엔날레에서는 만약 100년이라는 충분한 시간을 준다면 이런 생태환경을 되살리면서도 효용적인 도시를 만들 수 있을지를 고민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올림픽대로를 공원으로 덮어 뉴욕의 센트럴파크 같은 녹지 지대를 강북과 강남을 잇는 브리지(다리)로 쓸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것들이 바로 생태도시를 만드는 ‘그린 네트워크’다.

△100년이라고 하면 멀고 추상적인 개념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그 정도의 충분한 계획을 세우고 있어야 지속할 수 있는 도시가 만들어지지 않겠나. 이번 비엔날레를 주요한 계기로 삼아 서울에 대한 100년 마스터플랜을 서울시도 준비하는 것 같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녹색도시와 건축에 대해 굉장한 관심을 두고 있고 적극적인 행정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비엔날레 행사도 행사지만 서울시에서 자체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관련 정책들도 이번 행사와 함께 연결지어 이어갈 수 있도록 했다. 비엔날레도 성공적으로 시작했지만 무엇보다 총감독을 맡은 이후 가장 보람 있던 것은 이런 아이디어가 서울시 행정에도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실화할 수 없다면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라고 해도 이상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서울의 산길, 물길, 바람 길을 살리고 땅의 모습을 보존하면서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어가는 것은 이상적이지만 충분히 현실적이다.



△그간의 비엔날레는 건축에 대한 추상적인 개념을 다뤘다. 공유도시, 집합도시, 회복 가능한 도시 등 광범위한 주제라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에게 크게 와 닿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이번에는 일반인도 이해할 수 있고, 관심이 있을 녹색네트워크를 주안점으로 두고 실제 서울에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 녹지 공간에서 건물로의 접근성 등 녹지생태도시를 구현하는데 난제라고 생각되는 것들을 7가지로 요약하고 주제별로 나눠서 논의했다. 또 이런 것들이 아이디어 차원에서 그치지 않고 현실에 적용될 수 있도록 압구정동, 구룡마을 등 실제 서울의 지역과 아파트 등 사례를 연구했다. 지금은 우리가 유럽과 미국의 도시를 부러워하지만 조선 시대의 한양은 세계 어느 곳보다 훌륭한 생태도시였다. 100년 마스터플랜이 현실화한다면 그땐 다른 나라 사람이 우리를 부러워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가 정책을 만들어야 하며 무엇보다 시민의 공감대가 필요하다. 그래서 이번 비엔날레는 처음으로 시민참여형 행사를 많이 기획했다.

△가장 먼저 열린송현광장을 방문해 하늘소에 올라 북한산, 한강 등 아름다운 자연의 환경과 함께 서울 전역을 한눈에 바라본 다음 하늘소 아래쪽에 있는 녹지 형태의 브리지에 대한 12개 작품을 감상하면 좋을 것 같다. 그 이후 서울도시건축전시관과 아워갤러리, 시민청을 방문하면 된다. 거기선 100년 마스터플랜전을 볼 수 있다. 이는 생태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실제로 설계해 전시한 것이다. 다른 비엔날레들은 행사 주제와 관련된 설계를 실제로 하지 않고 그동안 한 작업들을 모아두거나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차원에서 그치지만, 이번 비엔날레에는 그 아이디어를 설계 단계까지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시민이 이렇게 직접 경험하게 하고 생태도시에 관심을 끌게 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야외 행사장을 구현했다.

△성수동, 압구정동, 응봉동을 잇는 링(ring) 형태의 녹지공원 브리지(다리)를 만들어 3개 지역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제안한 젊은 친구들도 있고, 100년 뒤 서울을 그래픽하게 보여준 작품 등 독창적인 부분이 많았다. 우리 민족이 참으로 창의적이란 것을 다시 한번 느꼈다. 서울시 측에서 시민 공모전을 하자고 제안줬는데 아주 좋은 생각이었던 것 같다.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로서는 이건희 미술관이 송현동 광장의 동측(공에박물관 위치)에 들어가게 되어있는데, 하늘소가 위치한 서측 담장 쪽으로 붙여서 들어가고 중앙과 동측은 열린광장 으로 유지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서울시와 문체부 두 기관이 논의를 잘해서 최대한 광장을 넓게 쓸 수 있고 서울의 자연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좋은 건축 안이 나오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자연경관을 가리지 않고 잘 조화될 수 있도록 건물을 높지 않게 만들면서도 지하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시민이 광장에서부터 자연스럽게 언덕처럼 건물 옥상을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설계해 루프탑 카페를 만든다거나 하는 방식 등을 생각해볼 수도 있다.

△개인적인 프로젝트들을 진행할 것 같다. 박태준 기념관이나 아유스페이스와 같은 건축이나 설계 의뢰가 많이 들어온다. 그런 것들을 해나가면서 ‘땅의 건축 운동’을 펼쳐나갈까 한다. 영국에서 최근 책도 나왔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이런 건축에 대한 개념을 전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