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선 참패로 정의당 내홍 심화…"이정미 사퇴해야" vs "혁신으로 책임질 것"(종합)
by이수빈 기자
2023.10.16 16:39:41
11월 `혁신재창당대회` 앞둔 정의당
보선 참패로 혁신 노선 갈등 재점화
비당권파, 제3세력 연대로 중도 확장 강조
`자강론` 내세운 이정미 지도부, 사퇴 요구 일축
[이데일리 이수빈 기자] 정의당이 지난 11일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참패’하며 이정미 대표를 필두로 하는 ‘혁신 재창당’ 작업에도 제동이 걸렸다. 노동·녹색 세력과의 연대를 통해 진보 정당 정체성을 분명히 하는 ‘자강론’이 이번 보선을 계기로 한계를 드러냈다며 제3세력과의 연대를 통한 진영 확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이정미 지도부를 향한 사퇴 요구도 제기됐다.
| 이정미(가운데) 정의당 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상무집행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
지난해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예상보다 낮은 성적을 거둔 정의당은 ‘혁신 재창당’을 공식 선언했다. 지난해 10월 출범한 이정미 지도부는 ‘자강론’을 바탕으로 한 혁신 재창당을 추진해왔고 다음 달 19일 ‘혁신재창당대회’를 열 계획이었다.
그러나 강서구청장 보선에서 1.83%라는 낮은 지지율을 얻으며 정의당의 혁신 재창당이 국민적 외면을 받은 것이란 비판이 제기됐다. 정의당 비당권파는 이날 일제히 입장문을 내고 이 대표의 재창당 노선에 반기를 들며 지도부의 총사퇴를 요구했다.
류호정, 장혜영 정의당 의원이 속해 있는 ‘세번째권력’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강서 보궐선거의 패배는 이정미 지도부 자강론의 패배”라며 “혁신 재창당 지도부를 자임했던 이정미 지도부였지만, 혁신도 재창당도 없었다. 말만 무성했던 녹색당과의 통합이나 노동운동 일부의 정의당 참가도 소문에 불과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선거 평가도, 노선 전환도, 재창당과 신당 창당도 그 첫걸음은 지도부가 되어야 한다”며 “이정미 지도부는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당권을 신당 창당 노선을 명확히 할 비상대책위원회로 넘겨야 한다”고 요구했다.
세번째권력은 양향자 의원의 ‘한국의 희망’, 금태섭 전 의원의 ‘새로운 선택’ 등과의 연대를 통해 제3지대 빅텐트 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창인 청년정의당 대표도 이날 “변화없는 지도부에 동참할 수 없다”고 사퇴를 선언하며 이정미 지도부 총사퇴를 요구했다.
김 대표는 “강서구청장 보궐선거를 통해 ‘이정미표 자강론’은 무참히 실패했다는 것을 전국민이 목격했다”며 “그럼에도 이 실패를 인정하고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지도부 사퇴도 없고 자강론 방향성 또한 그대로 유지한다고 한다. 변화를 주저하는 것은 진보정당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제3지대 신당 창당을 준비하는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구체적으로 제안하며 “기득권 양당정치를 거부하고 새로운 정치적 공간을 열어내고자 하는 다양한 세력과 함께하는 ‘제3지대론’과 과거 진보정당들과 통합적 흐름을 통해 민주당의 반윤정치에 동참하는 ‘진보통합론’. 남은 길은 두가지다”라고 제시했다.
정의당 내 ‘대안신당 당원모임’ 역시 “실패를 인정하지 않고 하던 대로 하겠다는 지도부에게 더는 당의 미래를 맡길 수 없다”면서 “전국위 권한까지 위임받는 전권 비상지도부를 구성하고 당의 노선 전환과 총선 지휘 책임을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의당 지도부는 이같은 요구에 즉각 선을 그었다. 김희서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정의당은 강서 보궐선거 이후 대표단, 의원단과 광역시도당 위원장단 회의를 진행하며 당의 진로에 대한 의견을 모았다”며 “당의 진로에 대한 이견이 없지는 않지만, 당의 근본적 혁신을 요구하는 민심과 진보정치 존망에 대한 위기감은 깊히 공감했다”고 전했다.
이어 “현 지도부가 정의당의 근본적인 변화와 쇄신의 구체적인 안을 예정된 당 대회에 내놓고, 혁신의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당원과 국민들 앞에 책임을 다하는 길이라는데 의견을 모았다”며 사퇴 요구를 일축했다.
김 대변인은 이데일리와 만나 “지난 13일 연석회의에서는 현 지도부가 그대로 운영되는 것에 큰 이견이 없었다”며 다음달 19일 예정된 혁신 재창당 대회 역시 예정대로 열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이정미 지도부는 △노동시민사회 △녹색당 등 녹색 정치세력 △지역정당 등 풀뿌리 정치세력과의 연대연합을 바탕으로 한 제3당 구축에 전력하고 있다. 특히 녹색당과는 상당한 수준의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김 대변인은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