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에그플레이션' 현실화…계란값 안정대책 절실하다

by오희나 기자
2025.05.22 15:03:42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최근 계란 한 판(일반란 특란 기준) 가격이 7000원을 넘어서며 ‘에그플레이션(eggflation)’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제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8000원 돌파도 눈앞에 두고 있다. 계란은 국민 식탁에 빠질 수 없는 필수 식재료인 만큼 가격 급등은 서민 가계에 직접적인 타격이 된다. 특히 계란은 아침 식사부터 각종 반찬, 제과제빵에 이르기까지 우리 생활 곳곳에 쓰이는 만큼 그 파장은 결코 작지 않다.

계란값 상승의 원인은 복합적이다. 고물가로 집밥 수요가 늘면서 계란 소비가 증가했고, 오는 9월 닭 사육면적 확대 정책 시행을 앞두고 산란계(알 낳는 닭) 교체 수요가 몰리며 공급이 일시적으로 줄었다. 새로운 사육면적 기준이 9월 이후 입식되는 닭에만 적용되고 기존 닭은 2년간 유예되는 만큼 미리 노계를 병아리로 교체해 유예 제도를 충분히 활용하고자 하는 업계 전략인 셈이다. 여기에 AI(조류인플루엔자) 발생과 사료값 상승, 브라질산 수입 중단 등도 가격 인상에 영향을 미쳤다.



문제는 계란값이 오르면 밥상 물가뿐 아니라 외식업, 베이커리 등 계란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산업 전반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이미 라면, 과자 등 식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는 상황에서 계란값까지 치솟으면 소비자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일부 대형마트는 자체 마진을 줄여 가격을 방어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가격 안정 대책이 절실할 때다. 단기적으로는 산란계 수급과 유통 구조를 점검해 불공정 거래가 있는지 단속하고, 필요하다면 수입 확대와 비축 물량 방출 등 가격 안정 조치를 신속히 시행해야 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유통 구조 투명화와 생산 기반 안정화 등 근본적 대책도 필요하다. 계란값 안정은 국민 생활의 기본이다. 소비자가 부담 없이 장을 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야말로 정부의 중요한 책무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